김정은 체제단속 국적 불문… 국경 넘나드는 중국인도 타깃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3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中 ‘화교 사업가 北납치’ 조사 착수

중국 국적인 쑹(宋)모 씨가 랴오닝(遼寧) 성 단둥(丹東)에서 북한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면 적지 않은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북한이 체제 안전을 위해 금단의 영역인 중국 국민에게까지 테러의 손길을 뻗치기 시작했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쑹 씨는 북한에서 태어나 성장했지만 국적은 중국이다.

○ “야간에 박스에 담겨 납치”

쑹 씨 가족이 그를 마지막으로 본 것은 3일 오후 7시경이었다. 그는 “사업 관계로 만날 사람이 있다”며 집을 나섰다 소식이 끊겼다. 그는 북에서 자식들만 데리고 나와 단둥에서 살고 있었다. 술, 담배를 전혀 하지 않는 데다 외박을 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가족이 북한에 납치됐다고 확신하는 것은 사건 발생 수일이 지난 뒤 평양 쪽에서 들려온 소식 때문이다. 쑹 씨가 박스에 담겨 북으로 넘겨진 뒤 평양에 붙잡혀 있다는 소식이었다. 한 친척은 “여러 경로를 통해 쑹 씨의 소재를 확인했다”면서도 “손을 쓸 방법이 없어 속만 태우고 있다”고 전했다. 한 대북 소식통은 “압록강철교(중조우의교)가 아닌 둥강(東港)을 통해 해로로 북에 옮겨졌을 것”이라며 “북한은 과거에도 이런 방법을 썼다”고 말했다. 둥강은 단둥 시내에서 차로 1시간 거리에 있는 항구다.

피랍설이 사실이라면 북한이 억류 중인 한국인 선교사 김정욱 씨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쑹 씨는 김 선교사와 사업 등의 목적으로 친분을 유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단둥에서 지하교회를 운영하던 김 선교사는 지난해 10월 압록강을 건너 북한에 들어갔다가 국가안전보위부(한국의 국가정보원)에 체포됐다. 북한은 이후 김 선교사와 접촉했거나 기독교와 관련 있는 현지 주민들을 무더기로 잡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소식통은 “평양에서만 주민 수십 명이 정치범 수용소로 끌려갔다”며 “북한이 이번에 체제 안정을 해치는 세력의 뿌리를 뽑겠다는 식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쑹 씨가 김 선교사의 단둥 내 목회활동이나 북한 입경에 실제로 관여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쑹 씨 실종 사건이 알려지면서 단둥의 화교 사회도 술렁이고 있다. 황해도 출신의 한 화교는 “신변 안전 문제 때문에 다시는 북한에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단둥 거주 화교는 8000여 명(2006년 기준)으로 대부분 북에서 건너와 대북 사업과 관련을 맺고 있다.

○ 강도 더하는 ‘숙청 정치’

일각에서는 쑹 씨가 단순히 김 선교사와의 관계뿐 아니라 다른 민감한 사안으로 북한 당국의 표적이 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지난해 12월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처형 이후 체제 단속의 고삐를 더욱 바짝 죄고 있는 만큼 일종의 시범 케이스로 걸려들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단둥의 다른 소식통은 “북한이 외부 정보 유입과 내부 소식 유출을 차단하는 데 혈안이 돼 있는데 주요 감시 대상 중 한 부류가 화교”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북-중 접경지역에서는 북한의 내부 통제에 대한 각종 소문이 퍼지고 있다. 한 대북 사업가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비서실 격인 노동당 주석실 인력을 집권 이후 2번이나 갈아 치웠으며 그중 일부는 총살형을 당했다는 말도 돌고 있다”며 “특이한 건 과거에는 밖으로 새나오지 않을 소문까지 돌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기류는 북한 지도층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 대북 소식통은 “숙청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노동당 간부는 물론이고 해외 공관원들조차도 ‘언제라도 소환돼 처벌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숙청의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최근 북한 재외공관에 하달된 숙청자 명단에는 승리무역 고위간부와 실무자도 포함됐다. 승리무역은 북한 주요 수출품인 석탄을 팔아 자금을 조달하는 대표적인 ‘외화벌이’ 조직이다. 북한에서는 대부분의 권력기관이 이권사업에 개입돼 있어 부패 혐의에서 자유로운 간부가 드물다. 이에 따라 간부들 사이에는 “붙잡혀 어설프게 처형되느니 차라리 자결하겠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고 당국은 조사 대상자의 탈출을 봉쇄하기 위해 접경지역 통제도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단둥=고기정 특파원 koh@donga.com / 조숭호 기자
#김정은#체제단속#중국인#북한 납치#화교 사업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