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Life]현장에서/‘광속’, 싱가포르의 친기업 서비스

  • 입력 2008년 4월 28일 02시 59분


“직접 겪어보니 왜 싱가포르가 ‘기업하기 좋은 나라’인지 알겠더군요.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선 ‘(한국) 본사도 (싱가포르로) 옮기는 게 어떨까’ 하는 농담까지 나올 정도였어요.”

얼마 전 한 국내 게임업체 관계자는 기자에게 ‘싱가포르 출장기’를 전하면서 현지 공무원들의 기업마인드를 칭찬했다.

해외 게임 배급사와 투자가들을 만나기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했는데, 싱가포르 정부의 게임산업 관련 부처 국장 3명을 3일 만에 모두 만나는 ‘놀라운 경험’을 했다는 것이다.

“싱가포르에 가기 전 이 세 사람과 약속을 잡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일주일이었어요. 처음에 국장 한 명하고만 접촉했는데, 자기들이 알아서 다른 관련 부처 국장들에게 연락한 모양이에요.”

더욱 놀라운 일은 그 다음에 벌어졌다.

“모임에서 정말 파격적인 사업 제안이 나왔어요. 싱가포르의 게임 관련 인재를 한국으로 데려가 써주면 첫 2년 임금을 싱가포르 정부가 대주겠다고 했어요. 싱가포르에서 게임 콘텐츠 사업을 하면 세제 혜택을 준다고도 했어요.”

이 관계자는 “최근 싱가포르의 국가 목표 중 하나가 ‘동남아시아의 디지털 콘텐츠 허브’”라며 “한국의 온라인 게임 콘텐츠를 유치하고, 한국의 게임 개발력을 배우려는 현지 공무원들의 열의가 대단했다”고 전했다.

그는 당시 경험을 국내 기업환경과 비교하면서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한국에서는 (게임업계 중소)기업인이 국장급 공무원을 만날 수조차 없어요. 만날 수 있다고 해도 그러기까진 정말 오랜 시간이 걸릴 겁니다.”

게임은 제조업 수출과 달리 수출액의 90%가 순이익으로 남는 수출 효자상품이다.

‘바다이야기 파문’ 등 숱한 악재가 있었지만, 국내 온라인 게임업계는 용케도 개발 경쟁력을 지켜왔다.

하지만 개발시장이 정체되면서 히트작이 줄고, 중국산 게임의 ‘역공’으로 국내 일부 게임사가 문을 닫는 등 게임업계에도 좋지 않은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다.

아이템 사기, 학업 방해 등 게임에 지나치게 몰입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은 게임업계가 적극 나서 대처해야 한다. 우리 정부도 게임을 ‘산업’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육성하려는 의지를 보이면 국내 게임산업이 다시 기지개를 켜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본다.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