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환경연합 의혹’ 객관적 조사로 투명성 높여야

  • 입력 2008년 2월 28일 23시 30분


환경연합 실무 간부 2명이 지난 3년간 정부와 기업으로부터 지원받은 사업비 6600만 원을 개인계좌에 넣어 관리한 사실이 드러나 자체 진상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환경연합은 조만간 조사를 끝내고 당사자와 관리 책임자들에 대한 징계 수준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당사자들이 개인적으로 돈을 유용한 흔적이 없고, 문제의 돈을 돌려받은 만큼 사법기관에 수사 의뢰를 할 생각은 없다고 했다.

국내 최대의 환경운동 단체인 환경연합이 내부 비리를 감추지 않고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자체 조사에 나선 것은 바른 태도다. 그러나 도덕성이 생명인 시민단체가 자체 조사와 징계로 사태를 미봉하려는 것 같아 유감이다. 설사 당사자들이 돈을 유용하지 않았어도 단체 공금을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채 개인계좌에 넣어둔 것만도 큰 잘못이다. 당사자가 제출한 개인계좌들만 훑어보거나 해명만 듣고 유용이 없었다고 단정하기도 어렵다.

환경연합이 이번 사건으로 국민의 신뢰를 잃지 않으려면 수사를 의뢰하거나 객관적인 제3자에게 조사를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체 조사로 끝내는 것은 문제를 축소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어 불신을 키울 수 있다.

일부 시민단체 중에는 외부 보조금과 사업비를 쌈짓돈처럼 여기는 관행이 있다. 돈을 타 낼 목적으로 소모적이고 전시적인 일회성 사업을 벌이고 회계 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행정자치부가 2006년 49억 원을 지원해 준 시민단체들의 148개 사업에 대해 평가한 결과 일부 시민단체의 도덕성과 투명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민단체는 스스로 깨끗해야 사회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기능을 떳떳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시민단체들은 환경연합 사건을 계기로 자신의 정당함을 사회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도록 설명책임(accountability)의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지난 정부 아래서 정권과 유착하는 시민단체가 늘어나면서 국민 혈세가 일부 시민단체에 잘못 흘러든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일부 시민단체의 도덕적 해이와 비리를 도려낼 때가 됐다. 이를 위한 정치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고 제도적 방안도 찾아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