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뜨겁다]민주당·검찰 '이상한 갈등'

  • 입력 2001년 1월 18일 18시 43분


‘안기부 돈 선거자금 유입’ 사건을 둘러싼 청와대와 민주당, 그리고 검찰의 대응태도를 살펴보면 뭔가 ‘아귀’가 맞지 않는 기류들이 감지된다.

특히 검찰이 16일 안기부 자금을 지원 받은 대부분의 한나라당 의원이 돈의 성격을 몰랐을 것이라며 수사를 강삼재(姜三載)부총재와 몇몇 극소수 인사들에게만 한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이후 검찰과 민주당 사이에 흐르는 ‘갈등기류’는 좀 이상하다.

민주당은 신승남(愼承男)대검차장이 그런 방침을 밝힌 직후부터 연일 ‘성역 없는 수사’를 강조하고 있다. 집권 여당이 검찰의 수사방침에 불복하고 나선 것이다.

심지어 민주당 당직자들은 “우리도 알아봤는데 검찰이 청와대와 사전조율을 거쳐 그런 방침을 밝힌 게 아니더라”라며 검찰의 방침이 여권내의 통일된 의견이 아니라고 몰아붙이는 장면까지 연출됐다. 한 당직자는 “검찰이 야당탄압이라는 인상을 지우고 강부총재 체포동의안 처리 때 한나라당 의원들의 반발을 최소화하려고 그런 것 아니겠느냐”며 검찰의 ‘단독플레이’라고 단정하기까지 했다.

정말 그런 것일까.

먼저 여권 핵심인사들은 신차장의 ‘정치인 조사 포기’결정이 청와대와의 사전 조율 없이 이뤄졌을 것이라는 민주당의 주장에 대해 “표면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누구도 그렇게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민주당, 특히 김중권(金重權)대표가 모를 리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검찰과 민주당이 ‘역할 분담’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즉 검찰은 야당의원들을 안심시키는 쪽으로 가고, 민주당은 정치적 압박을 계속해 나가는 쪽으로 역할을 분담했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 또한 최근의 기류변화를 설명하기엔 뭔가 부족하다.

그래서 여권 일각에서는 구주류와 신주류의 시국인식 및 향후 해법에 대한 시각차에서 빚어지고 있는 현상일지도 모른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신차장의 발언이 한나라당 의원들이나 김영삼(金泳三) 전대통령 부자(父子)에 대한 수사는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라면 관전포인트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여권 내에서는 아직도 김중권대표―한화갑(韓和甲)최고위원 라인으로 대표되는 ‘DJP┼TK(대구 경북)연합론’의 흐름과 구주류 내에 동조자가 많은 ‘민주연합론’ 또는 ‘DJP┼YS 연합론’의 기류가 병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김대표 체제의 민주당이 연일 검찰방침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것도 사실은 검찰의 수사방향에 구주류의 정국해법이 반영돼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없지 않다.

구주류로 분류되는 여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18일 “강부총재 이상으로는 수사가 확대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상도동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주기 위한 메시지가 전달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해 적어도 이 사건 수사를 둘러싼 여권 내의 기류가 생각보다 훨씬 복잡함을 시사했다.

<김창혁기자>ch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