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88!실버 청춘시대] “91세에 잡은 죽도…매일 1000번씩 휘둘렀지”

  • Array
  • 입력 2011년 2월 2일 07시 00분


검도 배우겠다 찾아가면 번번이 거절…우연히 만난 박귀화 사범이 받아줬지

우리 나이로 아흔다섯. 하지만 죽도를 들고 있는 순간 만큼은 노인이 아닌 당당한 검사다.음성 | 임진환 기자 photolim@donga.com
우리 나이로 아흔다섯. 하지만 죽도를 들고 있는 순간 만큼은 노인이 아닌 당당한 검사다.음성 | 임진환 기자 photolim@donga.com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최고령 검도 초단 이상윤 옹이 죽도를 힘차게 휘두르고 있다. 음성 | 임진환 기자 photolim@donga.com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최고령 검도 초단 이상윤 옹이 죽도를 힘차게 휘두르고 있다. 음성 | 임진환 기자 photolim@donga.com
인생은 90부터!
94세 대한검도회 최고령 초단, 이 상 윤 옹


2008년, 검도대표팀 사령탑이던 고규철(69) 감독은 이런 얘길 꺼낸 적이 있었다. “일본 검도의 본산지인 교토에 갔을 때의 일이야. 여든이 넘어 보이는 노인이 도복을 어깨에 메고 나타났어. 자기 몸도 잘 못가누던 양반이, 잠시 뒤 옷을 갈아입고 죽도를 들더니 완전히 딴 사람이 되더라고. 젊은 친구들도 쉽게 상대하지를 못했지.”

고 감독은 아직 한국 검도의 고령저변이 탄탄하지 못한 것에 대해 안타까워했다. 바로 그 해 가을이었다. 대전에서 아흔을 넘긴 노신사가 검도장의 문을 두드렸다. 그리고 2010년 11월. 그는 마침내 대한검도회 역사상 최고령으로 초단을 땄다. 인생은 아흔부터…. 틀니도 착용하지 않고, 아직 신문의 깨알 같은 글씨도 읽는다는 이상윤(94) 옹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검도, 힘 아닌 마음으로 하는거지

내 열정은 아직도 이팔청춘이거든!


○“운동? 헌신하면서만 살았는데 그럴 시간 있었나”


1917년 충남 공주 출생. 이상윤 옹의 청년기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질곡의 시기였다. 소싯적 얘기를 묻자, 역사가 한 개인의 삶을 어떻게 앗아가는 지에 대해 열변을 토했다.

“왜정 때는 강제징용에 끌려가지 않으려고, 피신도 많이 다녔지. 평안도에 함경도에, 중국까지 갔어. ‘왜놈’들이 얼마나 나쁜 지 알아? 문고리에, 구두징까지 뺏어가더라고. 난 그 때 자식 한 명까지 잃었어.”

해방 이후, 이번에는 한국전쟁이 터졌다. “사흘을 굶은 적도 있었어. 낮에는 비행기 폭격 때문에 움직이질 못하니, 밤에만 산길로 피난을 다녔지. 그 때 또 한 명의 자식이 저 세상으로….”

2번이나 혈육을 가슴에 묻은 슬픔 때문인지, 세월의 주름살은 더 깊어 보였다. 그러나 그런 아픔 속에도 섬유사업으로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 1남3녀를 번듯하게 키워냈다. “운동? 우리가 언제 그런 것 할 시간이 있었나? 취미 생활도 모르고 살았지.”

○“이젠 한밤중에 걸어도 두렵지 않아”


91세가 되어서야 운동에 눈을 돌렸다. 부인과의 이별 후 복지관에서 서화를 배우는 것이 낙이던 시절이다. “아침에 서예수업 들으러 가려면, 새벽5시부터 2시간 가까이 걸어야 돼. 아직 어두운 시간이라 마음이 편하지 않지. 강도라도 만나 ‘돈 내 놓으라’ 할까봐 쌀 한말 값도 안가지고 다녔다니까.”

가장 먼저 떠오른 호신술은 ‘택견’이었다. 하지만 마땅한 공간이 없었다. 물어물어 검도장을 찾았지만, 이번에는 거절을 당했다. 워낙 어린 초등학생들이 많아 사범도 부담스러웠던 모양이다. 그 때 운명처럼 박귀화(61·검도7단·조선세법5단) 사범을 만났다.

이미 박 사범도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였지만, 새로 맞은 제자는 아버지뻘이었다. 다음 날부터 매일매일 수업이 이어졌다. 이상윤 옹은 1시간 반을 걸어 검도장으로 향했다. 열정만큼은 이팔청춘. 죽도의 향기는 더 짙어져갔다.

박 사범은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기(氣)를 불어넣는 소리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으셨어. 힘은 또 어찌나 좋으신지…. 한 번은 할아버지께서 짚단을 베시겠다며 짚단 여러 묶음을 사셨지. 나는 한 손에 두 묶음씩 네 묶음을 들고 있는데, 글쎄 할아버지는 한 손에 세 묶음씩 여섯 묶음을 드시더라니까….”

검도실력을 확인하기 위해 충북 음성에 위치한 대한검도회 중앙연수원을 찾았다. 기검일체(氣劍一體)라고 했던가. 타격대를 향하는 이상윤 옹의 죽도가 매섭다. “검도는 힘으로 하는 게 아니야. 검 끝에 내 마음을 모으는 것이거든. 이제 새벽에 다녀도 주머니에 돈 두둑하게 넣어둬.” 사람 잘못 봤다가는 큰일이다. 지팡이가 언제든 죽도 역할을 할 수 있으니….

110131 대한검도회 중앙연수원 박귀화 사범_검도 1단 이상윤 옹 (기획) 임진환 기자 photolim@donga.com
110131 대한검도회 중앙연수원 박귀화 사범_검도 1단 이상윤 옹 (기획) 임진환 기자 photolim@donga.com
○“내가 검도를 얻었으니, 다 나눠주고 가야지”

대전광역시 마산동에 위치한 이상윤 옹의 자택 주변에는 300평 남짓한 텃밭이 있다. 봄이 오면 온갖 약초들이 잎사귀를 틔운다. 그는 수지침 등 한방의학에도 조예가 깊다. 이웃들의 건강을 잘 돌봐줘 이미 ‘계룡도사’로 명성이 자자하다. 그 텃밭은 손수 가꾼다.

“검도를 배우고 나서는 쇠스랑이 젊은 사람이 든 것처럼 움직여. 내가 집에서도 죽도를 하루에 1000번씩 휘두르거든. 박 사범이 손수 만들어준 죽도 끝이 다 너덜너덜해질 정도야.”

검도장의 동학(同學)들은 증손자뻘이다. 한 때 이상윤 옹은 1주일에 한 번씩 그들의 스승이 됐다. 검도장에서 서예교실을 연 것이다. 훈장님은 일일이 무릎을 굽혀가며 열정적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먹의 향기는 검도장 곳곳으로 퍼졌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은 다 나눠야지. 그거 다 가지고 (저 세상) 갈 것 아니잖아. 때론 우리 집 감나무에 감을 따서 검도장에 가져오기도 해. 그렇게 많은 사람들의 기운을 받으니까 더 힘이 나는 것 같아.”

○“100세까지? 30년은 더 검도해야지!”

이상윤 옹의 꿈은 100세에 서화전을 열고, 그 때까지 죽도를 잡는 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말이 산자수명(山紫水明·산은 자줏빛이고 물은 맑다)이야. 세상에 아름다운 것이 얼마나 많은데…. 그것들 다 보고, 다 누리고 가야지. 올 여름에는 자식들이랑 인도여행도 갈 거라니까. 재벌들 중에도 아마 나보다 오래 산 사람은 없을 걸? 난 그 사람들보다 가진 돈이 적어도 행복해. 앞으로 30년은 더 살아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이 돌아갔다’는 말 듣고 싶어. 그러니 검도도 더 열심히 해야지.”

“초단을 땄으니, 2단에 대한 욕심은 없으시냐?”고 물었다. 초단에서 2단을 따는 데는 최소 2년이 걸린다. “왜 단에 집착을 하나. 그것 때문에 검도를 하는 게 아니잖아. 100세까지 해서 (2단) 주면 받는 것이고….” 순간 ‘아차’ 싶었다.

그는 “그냥 내 실력이 하루하루 늘어가는 것이 재미있을 뿐”이라고 했다. 그 순간, “내 연주가 조금씩 발전하니 좋다”며 95세까지 악기를 만졌던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가 연상됐다면 조금 과한 것일까. ‘시간이야말로 가장 훌륭한 스승’이라고 했다. 94년의 세월을 반추하는 그에게서도 거장의 풍모가 느껴졌다.

이상윤 옹은 중앙연수원에 걸린 ‘검상예용(劍尙禮勇·검도는 예절과 용기를 숭상한다)’이라는 현판글씨를 또박또박 일러준 뒤, 손자뻘 취재진에게 연신 허리를 굽혀 작별인사를 고했다.음성 | 전영희 기자 setup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