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DO IT/기자체험시리즈]<2>윈드서핑 도전

  • Array
  • 입력 2010년 10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일어서다 풍덩… 봉 세우다 풍덩… 3일째 어느 순간 보드가 앞으로

《조조가 적벽대전에서 패한 까닭은 주유의 계략에 말려 수군 책임자 채모와 장윤을 죽였기 때문이다. 수군 사령관을 스스로 자른 조조는 83만 대군을 허망하게 잃었다. 바람과 물의 이치를 모르고 천하를 얻기란 불가능했나 보다. 체험 시리즈 과제로 윈드서핑을 받아들고 기자는 백조를 떠올렸다. 아무 걱정 없이 바람을 타고 우아하게 수면을 가로지르는…. 하지만 직접 대면한 윈드서핑은 고상한 레저 스포츠가 아니었다. 바람의 방향과 세일(돛)의 각도를 항상 살펴야 하는 두뇌 전쟁인 동시에 바람을 이겨내기 위한 체력전이었다. 채모와 장윤이 가지고 있던 바람과 물에 대한 지혜와 조조 대군의 물리력 모두가 필요한 셈이었다.》
○ 윈드서핑은 과학이다

원드서핑에는 자연의 오묘한 섭리가 숨겨져 있었다. “이 정도 산들바람에 배가 나가겠어”라고 생각했지만 어느 순간 갑작스럽게 속도가 붙었고, 거센 바람이 불어도 배가 전혀 앞으로 나가지 않을 때도 있었다. 수시로 바뀌는 바람의 방향과 세일의 각도를 읽지 않으면 앞으로 나갈 수 없었다. “그까짓 것 대충 물에 보드 띄우고 바람 받으면 가겠지”란 상상은 여지없이 깨졌다.

윈드서핑 도전을 위해 방문한 이달 초순 서울 한강시민공원 망원지구엔 제법 쌀쌀한 가을바람이 불고 있었다. 실제로 윈드서핑 하면 삼복더위의 여름이 제맛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진정한 고수들은 가을의 변화무쌍한 바람에 더 매력을 느낀단다. 기온이 섭씨 15도를 밑돌아도 한강 수온은 정오경 20도 가까이 오른다. 수온은 지상보다 한 달가량 늦게 식는다. 슈트만 입으면 수온이 10도를 밑도는 11월 말까지도 한강변 윈드서핑에 문제가 없다.

보드에 서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10번 정도 물에 빠진 뒤에야 겨우 성공했다. 고개를 넘으니 또 고개라 했던가. 바람과 조정 막대를 횡직각으로 만드는 것은 더 어려웠다. 숱한 실패를 거듭한 끝에 한순간 거짓말처럼 바람을 타기 시작했다. 바람을 타는 이 느낌. 그 짜릿함을 잊을 수 없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보드에 서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10번 정도 물에 빠진 뒤에야 겨우 성공했다. 고개를 넘으니 또 고개라 했던가. 바람과 조정 막대를 횡직각으로 만드는 것은 더 어려웠다. 숱한 실패를 거듭한 끝에 한순간 거짓말처럼 바람을 타기 시작했다. 바람을 타는 이 느낌. 그 짜릿함을 잊을 수 없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본격적인 도전에 앞서 윈드서핑 이론 교육과 지면에서의 시뮬레이션이 실시됐다. “바람은 항상 등지고 서핑 보드는 바람과 횡직각 방향으로 놓아야 합니다.” 이론 설명만으론 이해가 가지 않아 조급해졌다. 답답해하는 기자를 보며 강사 백승철 씨(39)는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었다. “바람과 물길은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깨닫는 겁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100번 정도 물에 빠지면 다 알게 됩니다.”

○ 보드에 서기도 만만치 않아

바람이 거세 초보자들의 입수가 제한된 탓에 실습은 다음 날로 미뤄졌다. 수업 둘째 날 체온보호용 슈트를 입는 것부터 애로사항이 많았다. 요즘은 꽃미남을 넘어 미중년이 대세라던데 고백하건대 기자는 뚱청년이다. 박태환이 착용 스트레스 때문에 전신 수영복을 포기했다는 것을 진정으로 이해하게 된 순간이었다.

힘겹게 슈트를 착용한 뒤 한강에 나서자 처음엔 보드 위에 서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서는 데 성공해도 세일을 드는 순간 바람의 저항이 시작됐다. 그리고 보드는 여지없이 휙 돌아갔다. 10번 정도 물에 빠지니 바깥보다 물 안이 훨씬 따뜻했다. 안정적으로 서는 데 성공해도 바람과 보드의 각도를 90도로 맞추고 마스트(세일을 잡는 봉)를 횡직각 방향으로 조절해야 한다. 지상에서 배웠던 이론들이 머릿속에서 뒤죽박죽 엉켰다. 보드는 서풍에 밀려 강 동쪽으로 점점 밀려갔다. 강사가 모터보트로 보드 구출 작전을 벌여야만 했다. 더구나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는 배가 나아갈 수 없었다. 전문 용어로 노 고 존(no go zone·바람 불어오는 방향의 좌우 45도 지역)에 빠졌기 때문. 노 고 존에 빠진 초보자들은 강에 나갔다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집 나가기는 쉬워도 돌아오긴 힘들다’는 속담이 머리를 스쳤다.

○ 산들바람에도 속도 씽씽

결전의 셋째 날 드디어 몸이 바람을 느끼기 시작했다. 미묘한 차이로 전진에 실패를 거듭하던 어느 순간 마스트(세일을 조정하는 봉)를 잡은 팔과 세일이 바람과 팽팽하게 맞섰다. 미풍이었지만 거짓말처럼 속도가 붙기 시작하더니 쑥 앞으로 나가기 시작했다. 믿기지 않았다. 보드는 바람의 세기 때문이 아닌 미묘한 각도 차이로 전진하고 있었다. 마약보다 무섭다는 윈드서핑의 손맛에 중독되는 순간이다.

강의 중간으로 갈수록 속도는 높아졌다. 초보자 딱지를 떼야만 가능하다던 한강 도강이 드디어 눈앞에 다가왔다고 확신하는 찰나에 바람이 남풍으로 바뀌었다. 강 남쪽으로 가는 것이 불가능해졌다는 의미. 노 고 존이다. 초보 윈드서핑족의 도강식은 원고 마감 이후로 연기됐다.

물에 빠질 용기가 있는 남녀노소 누구나 윈드서핑에 도전이 가능하다. ‘평등 과학’ 윈드서핑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한강시민공원 망원지구 백 선생을 찾아가시라. 뚱청년도 3일 만에 초보티를 벗을 수 있다. 과학은 만인에게 평등하니까.

서울 한강에서 윈드서핑을 배울 수 있는 곳은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와 망원지구다. 1회 2시간가량 타는 것은 장비 대여를 포함해 6만 원. 한강을 혼자 건너는 것을 목표로 하는 초보 교육 프로그램은 역시 2시간씩 4회이며 25만 원이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