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소병원 “의사 확충, 지역·필수의료 유입 대안 있어야”

  • 뉴시스
  • 입력 2023년 11월 24일 13시 38분


코멘트

박민수 복지차관, 전날 중소병원협회 간담회
"중증도·의뢰체계 등에 따라 수가 차등 필요"

지역 중소병원에서 의과대학 증원 등으로 의사인력이 확충되는 경우 지역·필수의료로 유입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2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전날 오후 6시30분 서울 모처에서 대한중소병원협회와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의료 현안 관련 의견을 청취했다.

대한중소병원협회는 전국 3000여 개의 중소병원을 대표하는 단체로 200여개의 회원 병원으로 구성됐다. 중소병원은 필수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주민들의 건강을 지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박 2차관은 정부의 필수의료 확충방안 등에 대한 중소병원의 의견을 청취하고 정부의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대한중소병원협회장인 이성규 동군산병원장 등 9명이 참석했다.

이 회장은 “재난 시, 소아가 약한 존재인 것처럼 보건의료시스템에서는 중소병원이 소아와 같은 입장”이라며 “의사인력 문제도 있지만 제대로 된 보상이 없어 의사들이 병원에서 근무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박진식 세종병원 이사장은 지역 내 의료생태계에서 중소병원이 중간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의료전달체계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 이사장은 “현 의료전달체계에서 지역 내 의료기관 간 협력할 네트워크를 만들 동기가 적다”며 “중증도에 따라 의뢰체계에 따라 수가를 차등 반영하는 전달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인호 목포한국병원장은 “확충된 의료인력들이 지방의료, 필수의료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지부에서 대안도 함께 잘 마련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박 2차관은 간담회에서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필수의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종합적 정책패키지 수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현재 추진 중인 정부의 지역·필수의료 혁신방안이 국민과 환자의 시각에서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각계의 기탄 없는 의견을 듣고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이날 오후 6시30분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와 간담회를 열고 의대 증원 등 의료 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 21일 전국 40개 의대의 2025~2030학년도 증원 수요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2025학년도 최소 2151명·최대 2847명 ▲2026학년도 최소 2288명·최대 3057명 ▲2027학년도 최소 2449명·최대 3696명 ▲2028학년도 최소 2649명·최대 3696명 ▲2029학년도 최소 2719명·최대2882명 ▲2030년 최소 2738명·최대 3953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다음달까지 의학교육점검반을 통해 현장점검을 마친 후 의대 증원 규모를 최종적으로 확정할 방침이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에 반발해 2020년 전공의 진료중단(파업) 사태 때와 같은 수준의 투쟁을 예고했다. 지난 22일 오후 제28차 의료현안협의체는 30분 만에 파행했으며 의협 측은 오는 26일 향후 투쟁 여부나 방식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