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정신건강도 챙겨요”…국내 첫 통합케어 병실 운영

  • 뉴시스
  • 입력 2023년 11월 1일 11시 17분


코멘트

중앙대병원 ‘내과·정신건강의학과 통합케어 병실’ 운영
입원환자 전담 정신과의사 일대일 배정 받아 심리상담

중앙대학교병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내과-정신건강의학과 통합케어 병실(Medical Psychiatry Unit, MPU)‘ 운영을 시작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달 23일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내과-정신건강의학과 통합케어 병실‘은 일반병원 병실에서 치료하기에는 어려운 정신과적 증상이 동반되고,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서 치료하기에는 내외과적 질환이 중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동이다.

지난 6월 중앙대병원 권정택 병원장과 주요 보직자들은 미국에서 통합케어 병실을 가장 활발하게 운영 중인 로체스터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호창리(Hochang Lee) 교수, 국제MPU컨소시엄(National Medical-Psychiatry Unit Consortium) 위원장인 마르샤 위틴크(Marsha Wittink) 교수와 병원에서 만나 통합케어 병실 운영의 의의와 경험에 대해 논의했다.

이후 약 3개월간 면밀한 기획과 준비를 거쳐 국내 최초로 ’내과-정신건강의학과 통합케어 병실‘을 열었다. 입원 전담의가 주치의로서 입원 환자를 진료하고, 전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주치의와 협의를 통해 입원환자의 정신 및 행동 문제를 살피고 치료하게 된다.

입원 대상은 내과적 신체 건강과 정신건강 문제가 동반되는 급성 약물 중독, 약물 금단 증후군, 자가면역 및 내분비 질환에서 급성 신경 정신 증상이 동반된 환자, 내과 환자 중 질병 및 병원 환경에 대한 외상성 반응이 있는 환자, 급성 섬망, 뇌병증·동요가 있는 환자 등이다.

또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중 항생제 및 중점적 의료 모니터링이 필요한 급성 감염 환자, 급성 신기능 부전, 당뇨병성 케톤산증 등이 동반된 환자가 입원할 수 있다.

통합케어 병실 입원 환자는 담당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일대일로 배정받게 된다. 담당 의사는 매일 회진을 통해 환자를 살피고, 환자는 야간과 휴일에도 정신과적 문제에 대해 바로 상담 받고 조치 받을 수 있다.

병원은 통합케어 병실 운영을 통해 중증 신체질환·정신질환 동반 환자의 복잡한 신체 및 정신 문제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어 신속한 증상 호전과 함께 병원 내 자살, 자해, 폭력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게 됐다.

중앙대병원 통합케어 병실(MPU) 전담 전문의인 김선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국내 병원의 병동 시스템상 내과 혹은 외과 병동에서의 급성기 내과 질환, 수술 및 항암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조증 및 정신증 발병 등으로 행동조절이 어려워 치료가 미뤄지거나 자살·자해, 폭력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과적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어려운 폐쇄 병동의 현실적 제약과 현재 협진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내과-정신건강의학과 통합케어 병실(MPU)‘을 운영하게 됐다”고 했다.

또 “통합케어 병실은 이미 미국과 네덜란드 등 종합병원에서 운영되고 있고 기존 통상적인 입원 병동과 비교해 환자의 재원 기간 감소, 시설이 아닌 자택으로의 퇴원 증가, 재입원 감소 등의 효과 있는 것으로 미국 뉴욕 로체스터대학에서 시행된 연구에서 확인됐다”며 “국내 최초로 통합케어 병실을 운영함으로써 신체 및 정신질환을 동반한 중증환자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안전한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