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먹으면 키 큰다더니…‘키 크는 약’ 알고 보니 “효과 확인 안 해”

  • 뉴스1
  • 입력 2023년 10월 25일 08시 52분


코멘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키재기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키재기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성장호르몬을 담아 먹으면 키가 큰다는 일명 ‘키 크는 약’이 효능과 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한 번도 거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의료기관에서 처방되고 있는 일명 ‘키 크는 약’, ‘키 크는 주사’의 효능, 효과는 물론 안전성 및 유효성이 한 번도 확인된 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이 약들은 성장호르몬이 부족해 발생하는 터너증후군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만 임상시험을 진행한 사실도 드러났다.

식약처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의료기관에서 처방되고 있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은 총 24개다.

이 ‘키 크는 약’들이 병을 앓고 있지 않은 일반적인 소아, 청소년 등에게도 효과가 있는지 한 번도 확인된 바가 없다는 이야기다.

또한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진행한 ‘소아청소년 대상 키 성장 목적의 성장호르몬 치료’ 연구에서도 “허가범위를 초과한 성장호르몬 사용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해 권고하지 않으며, 오직 임상연구 상황에서만 적용돼야 한다”며 단순히 키가 작은 일반인에 대한 처방은 권고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병원, 일반병원, 성장클리닉 등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키 크는 약’을 처방하고 있다.

2021년부터 지난 9월까지 전국 5761개 의료기관에 공급된 ‘키 크는 약’만 약 1066만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국내 저신장증 관련 환자는 약 7만8218명으로, 대부분 건강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터너증후군, 소아성장호르몬결핍증, 성인성장호르몬결핍증, 프라더윌리증후군, 누난증후군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약 3만2698명(41.8%)은 성장호르몬 ‘키 크는 약’ 30만7000여 개를 급여 처방받았다.

하지만 건강보험 급여혜택을 제외한 1035만개(97%)는 저신장증이나 기타 관련 질병이 없는 일반 소아 및 청소년들의 키 성장을 위해 비급여 처방된 것으로 확인됐다.

‘키 크는 약’의 단가는 1만2521원부터 135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의약품들은 의료기관에서 처방해주는 주사제가 대부분으로, 처방을 받은 후 집에서 일주일에 6~7회 몸에 직접 주사를 놔야 한다.

실제 한림대학교강동성심병원에서 처방해주고 있는 유트로핀에스(LG화학)은 용량에 따라 한 달에 약 50만원에서 75만원을 지불해야 처방받을 수 있고, 일주일에 6회를 투여해야 한다.

또한 지노트로핀(화이자)의 경우에도 한림대학교강동성심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서 처방해주고 있는데, 용량에 따라 한 달에 약 80만원에서 85만원이 든다.

서울아산병원에서는 지노트로핀(화이자) 외에도 그로트로핀2(동아에스티)를 처방해 주고 있었다. 한 달 처방가격은 약 70만원으로 주 6회 직접 투여해야 했다.

한양대학교병원에서도 약 80만원에 그로트로핀2(동아에스티)를 처방해주고 있었다.

김영주 의원은 “일반인에게 임상시험조차 한 적 없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이 마치 성장하는 일반 소아나 청소년들에게 효과가 있다고 광고 및 처방하고 있는 병원들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의 초기 허가 목적과 다르게 오남용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관리, 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