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2.2일 늘 때 구미 2.7일…‘폭염’ 증가 속도, 중소도시>대도시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8월 16일 14시 54분


코멘트
연일 폭염이 기승을 부린 3일 오후 대구 수성구 달구벌대로에서 자전거를 타던 시민이 뙤약볕 아래서 물을 마시고 있다. 2023.8.3/뉴스1
연일 폭염이 기승을 부린 3일 오후 대구 수성구 달구벌대로에서 자전거를 타던 시민이 뙤약볕 아래서 물을 마시고 있다. 2023.8.3/뉴스1
대도시에 비해 중소도시의 폭염일(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기상청이 발표한 도시화 효과가 기온 상승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48년간(1973~2020년) 중소도시의 폭염일은 10년 당 1.8일 증가해 대도시의 증가 추세(1.6일)를 넘어섰다. 이번 분석은 대도시 8곳, 중소도시 8곳, 비도시 14곳을 관측한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48년간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 8곳(서울·부산·인천·대구·대전·광주·수원·울산)과 인구 30만 명 이상 중소도시 8곳(청주·천안·전주·포항·제주·구미·진주·원주) 등 도시 16곳의 연평균 기온은 10년 당 0.37도 상승했다.

도시화에 의한 기온 상승분은 0.09~0.18도로, 기온 상승의 약 24~49%가 도시화 효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소도시의 도시화 효과는 29~50%로(기온 상승분 0.11~0.19도) 대도시의 도시화 효과 수치인 22~47%(기온 상승분 0.08~0.17도)에 비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폭염 발생 빈도의 증가 경향은 매 10년 당 중소도시에서 1.8일 증가해 대도시(1.6일)보다 증가 속도가 빨랐다. 인접한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폭염 발생 빈도 증가 경향을 비교해도 중소도시의 증가 폭이 비교적 컸다. 대구의 경우 폭염일이 10년마다 2.2일 증가했으나, 구미는 2.7일 늘었다. 대전은 같은 기간 1.1일 증가했으나 청주는 1.7일 늘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대도시에 사는 인구 비율은 1990년대 약 52%로 고점을 찍은 뒤 다소 감소했지만, 중소도시 인구 비율은 최근에야 31%로 최고점을 기록했다”면서 “1990년대 이후 성장이 정체한 대도시와 달리 중소도시는 최근까지 성장을 지속한 점이 기온 상승세와 폭염 증가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예지 동아닷컴 기자 leey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