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천식 결정적 영향은?…조산보다 태어날 때 ‘몸무게’

  • 뉴시스
  • 입력 2023년 8월 1일 11시 46분


코멘트

소아천식 환자 출생 몸무게 하위 10%
1초당 강제 호기량 등 폐 기능 더 낮아
조산 여부는 폐 기능에 큰 영향 없어

폐 질환인 소아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조산보다 출생 시 몸무게가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출생 시 몸무게보다 조산이 폐 기능 발달과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천식아토피센터 유진호 교수·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환수 교수팀은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소아천식연구회를 중심으로 국내 19개 병원에서 치료 받고 있는 만 5~15세 소아 천식 환자 566명을 대상으로 조산 여부, 출생 시 몸무게와 현재 폐 기능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들의 현재 폐 기능을 1초당 강제 호기량(FEV1), 노력성 폐활량(FVC) 등으로 분석했다. 1초당 강제 호기량은 1초당 강제로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양이고, 노력성 폐활량은 숨을 최대한 들이마신 상태에서 최대한 내뱉을 수 있는 폐의 용량이다.

연구팀은 먼저 37주 미만에 태어나는 조산 여부에 따른 폐 기능 차이를 분석했다. 566명 중 재태 기간 37주도 안 돼 태어난 미숙아는 57명이었으며 정상 임신 주수로 태어난 환자는 509명이었다.

미숙아 집단, 정상 집단의 1초당 강제 호기량은 정상 대비 각각 평균 92.2%, 92.3%였고, 노력성 폐활량은 정상 대비 평균 99.8%, 97.8%로 나타나는 등 폐 기능 지표에서 조산 여부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출생 시 몸무게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라 같은 재태 기간에 태어난 아기들 중 몸무게가 하위 10%에 해당하는 아기들을 저체중 신생아, 상위 10%에 해당하는 아기들을 과체중 신생아, 나머지 80%는 정상 체중 신생아로 분류해 출생 시 몸무게와 현재 폐 기능의 관련성도 분석했다.

그 결과 출생 전까지 자궁에 있었던 기간이 동일한 환자 중 출생 시 몸무게가 하위 10% 미만인 환자들의 폐 기능 지표가 다른 환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 출생 환자는 1초당 강제 호기량(FEV1)이 정상 대비 평균 94.6%인 반면, 정상 체중 출생 환자는 평균 90.9%, 저체중 출생 환자의 경우 평균 86.4%로 출생 시 몸무게가 적게 나갈수록 폐 기능이 크게 떨어졌다.

노력성 폐활량(FVC) 역시 정상 대비 과체중 출생 환자의 경우 평균 101.8%인 반면, 정상 체중 출생 환자는 평균 97.2%, 저체중 출생 환자는 평균 94.3%로 출생 시 몸무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또 조산이어도 출생 전까지 자궁에 있었던 기간 대비 출생 시 몸무게가 많이 나가면 폐 기능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 교수는 “출생 시 혹은 매우 어릴 때 폐 기능 발달 정도가 소아 천식 발생과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폐 기능이 좋지 않을수록 천식 악화 위험이 높아진다”면서 “폐기능이 낮은 환자들의 폐기능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현재 없어, 소아 천식 환자 중에서도 저체중으로 태어난 환자들의 부모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호흡 재활이 폐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지 등 소아 천식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환자들이 더 건강하게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돕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했다.

소아 천식 환자는 성인기에 폐 기능이 정상인만큼 최대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노화 과정에서 폐 기능이 정상인보다 더 크게 떨어질 위험이 있다. 소아 천식 환자 중에서도 폐기능이 낮을수록 천식 악화 위험이 더 높아질 뿐 아니라 나이가 들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다른 폐 질환 발생 위험까지 높아진다.

이번 연구는 아시아·태평양 호흡기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레스퍼토리(Respirology)’에 최근 실렸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