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여름휴가철 물놀이 사고 사망자 136명…‘부주의’ 원인 가장 많아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31일 15시 35분


코멘트
정희용 국민의힘 재해대책위원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집중호우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7.18. 국회사진취재단
정희용 국민의힘 재해대책위원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집중호우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7.18. 국회사진취재단
최근 5년간 여름 휴가철(6~8월) 물놀이 안전사고 사망자가 136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국민의힘 재해대책위원장인 정희용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8~2022년) 여름 휴가철(6~8월) 물놀이 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안전사고로 136명이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기별로는 살펴보면 더위가 시작되는 6월이 12%(136명 중 16명), 7월이 38%(52명)를 차지했고, 피서 절정기로 볼 수 있는 8월이 49%(68명)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발생 원인별로는 안전부주의가 32%(44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수영미숙 30%(41명), 음주수영 16%(22명), 높은파도(급류) 10%(13명), 튜브전복 4%(6명), 기타 7%(10명) 순이었다.

사고 발생 장소별로는 하천·강 32%(43명), 계곡 29%(40명), 해수욕장 24%(32명), 바닷가(갯벌·해변) 15%(20명), 유원지 1명 순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강원 28%(38명), 경북 18%(25명), 경남 11%(15명), 경기 10%(14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 34%(46명), 10대 19%(26명), 20대 17%(23명), 40대 14%(19명), 30대 9%(12명), 10세미만 7%(10명) 순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은 “여름 휴가철을 맞이하여 폭염을 피해 계곡이나 하천, 바닷가 등으로 물놀이를 즐기는 피서객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대기 불안정으로 갑자기 폭우가 내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물놀이 할 때는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