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0%,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타당한 결정”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2월 17일 12시 35분


코멘트
서울 영등포구의 한 대형 쇼핑몰에서 한 어린이가 마스크를 목에 걸고 있다./뉴스1
서울 영등포구의 한 대형 쇼핑몰에서 한 어린이가 마스크를 목에 걸고 있다./뉴스1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타당한 결정으로 생각한다는 내용의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은 케이스탯리서치와 함께 7~10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실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에서 권고로 조정한 결정에 대해 타당하다는 의견은 69.1%, 타당하지 않다는 의견은 25.4%였다.

마스크 의무 해제가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 중 53.5%는 ‘의무 해제 영향에 대한 불안이나 불확실함’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권고 조정 결정 내용이나 결정 과정에 대한 불신 때문이라는 의견은 24.8%였다.

의무 해제 이후 마스크를 가장 덜 사용하게 된 장소는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이 39.3%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헬스장 등 운동시설(34.7%), 백화점·마트 등 다중이용시설(34.3%), 공연장·영화관 등 문화 관람 시설(33.2%)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이들 장소에서 20·30대가 마스크 착용을 더 많이 줄였다.

특히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은 아닌 사람보다 마스크 착용을 더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마스크 착용을 얼마나 더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엔 ‘반년 미만’이라는 답변이 36%로 1위였다. ‘반년 이상’이라는 답변은 30.5%, ‘반년 정도’라는 답변은 19.6%였다.

마스크 착용 기간을 늘리거나 줄이는 요인은 무엇인지 물었다. ‘코로나 상황이나 기타 감염병 유행 관련한 위험 판단’을 꼽은 사람이 25.6%로 가장 많았고 ‘계절(날씨)’을 꼽는 이들도 비슷한 비율(23.5%)로 나타났다. ‘마스크 착용이 주는 심적 안정감이나 이득’ (17.3%), ‘주변 사람들의 마스크 착용 또는 관련 반응’(15.6%)을 꼽은 사람이 뒤를 이었다.

유 교수는 “권고 조정이 이뤄진 이후 약 열흘이 지난 시점에서 이뤄진 간단한 조사 결과, 응답자 70% 가까이가 감염 취약 시설과 대중교통을 제외한 실내 마스크 착용의 권고 조정 결정이 타당하다고 보면서도, 실제 대응에서는 쓴다, 안 쓴다는 이분법이 아니라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조정을 거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완만한 행동 조정 양상에는 객관적 감염 상황뿐 아니라 계절, 심리적 안정감, 주변의 반응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고루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등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조유경 동아닷컴 기자 polaris2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