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월 후 새 변이 등장…120만명대 유행 올수도” 전망

  • 뉴시스
  • 입력 2022년 4월 20일 13시 04분


코멘트
코로나19 ‘스텔스 오미크론’ 유행 2~3개월 후에 새로운 변이의 등장으로 100만명대의 대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국민들의 면역 형성으로 중증도는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대유행 전에 방역·의료체계를 미리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질병관리청은 20일 오후 1시 서울웨스틴조선에서 과학 방역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심포지엄을 열었다.

발제자로 나선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국내외 유행 상황을 토대로 한 변이의 우세 지속 기간은 10~14주라고 추산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오미크론에 이어 스텔스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자리잡은 상태다.

정 교수는 스텔스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10~14주 뒤에 새로운 변이가 등장해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미 국내에선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인 XL, XE, XM 변이가 유입된 상태다.

정 교수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자연 감염 등의 영향으로 새로운 변이는 면역을 회피하는 능력이 발달해 상대적 전파 능력이 상승한다.

유행 예상 곡선을 보면 면역 감소가 25%일때는 40~60만명대, 면역 감소가 50%로 가정하면 100만~120만명대 유행이 예상된다.

정 교수는 “마스크 착용, 추가 접종 등 조치가 이뤄질거라 순전히 이대로 될 것이라고 보기 어렵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없는) 지금 상황으로 보면 이 정도까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라며 “중증화율은 자연감염의 효과, 백신 접종 등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현재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도 기존 우세종이 델타 변이보다 중증화율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정 교수는 업데이트된 백신 계획과 먹는 치료제 비축, 마스크 착용 해제 시기,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평가, 감염병 등급 조정 등을 다음 유행 전까지 완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 정확한 유행 예측과 정책에 대한 평가, 정책 신뢰성, 고위험군 보호 등에선 여전히 정보가 부족하다며, 합병증, 예후 추적, 고위험군의 위험도 평가, 코로나19 대응의 정책적 평가, 백신 신뢰도 제고 분야에서 빅데이터 플랫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재용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전략본부 빅데이터연구부장에 따르면 공단은 올해 중 코로나19 후유증인 ‘롱-코비드’, 임산부 확진 등 4개 내외의 공모 과제를 준비 중이다.

질병관리청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행 예측 등 모델링을 통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력 사업으로 2023년까지 신규 감염병 대응 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기관 내 전문 역량과 인프라 부족, 정부와 전문가 사이 소통을 위한 공식적 기구 부재, 대국민 안내를 위한 플랫폼 부재 등이 한계로 꼽힌다.

이에 정부는 기관 내 전문가 기구 및 위원회를 신설하고 국내외 연구진 교류를 강화하며 다양한 감염병에 대한 모델링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 전문 인력과 조직을 확보하고 슈퍼컴퓨터 도입 등 인프라를 확충한다.

김헌주 질병관리청 차장은 “빅데이터 활용 분석을 통해 현장 대응 중심의 방역 정책이 예방적·선제적 대응까지 가능하도록 정부에서도 법·제도적인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