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2년차에도 전면등교 불발…‘학습결손’ 장기화 우려

  • 뉴스1
  • 입력 2021년 12월 26일 07시 11분


코멘트
지난 11월11일 경기 한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과 원격 수업을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지난 11월11일 경기 한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과 원격 수업을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2년째 이어지면서 학습결손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교육당국이 지난해보다 등교를 늘리면서 학습결손 해소에 나섰지만 확진자 폭증으로 전국 전면등교 시행도 한 달 만에 중단됐다. 내년에도 코로나19 상황을 안심할 수 없어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교육계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2년 차를 맞은 올해 주요 화두 가운데 하나는 단연 ‘등교’였다. 교육당국도 코로나19 사태 이전만 해도 일상이었던 등교를 어떻게 하면 지난해보다 더 늘릴 수 있을지 고심을 거듭해왔다. 등교수업이 중단되고 원격수업 병행이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학습결손 문제가 불거진 탓이다.

◇‘학습결손’에 어렵게 출발한 ‘전면등교’ 한 달 만에 막 내려

실제로 학습결손에 따른 교육격차가 커질 조짐이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지난 6월 발표한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보면 중·고교생에서 국어·수학·영어 모두 ‘보통학력’ 이상은 줄고 ‘기초학력’ 미달은 늘었다. 기초학력 미달은 교과과정의 20%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을 의미한다.

전체 중3·고2 학생의 약 3%인 2만1179명을 대상으로 표집한 결과이지만 중위권 학생들이 하위권으로 내려앉으면서 심각성이 커졌다. 신현욱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정책본부장은 “정확한 진단과 처방, 사후 피드백까지 체계적으로 학습결손 문제에 대응해야 하는데 진단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당국도 올해 안정적인 학사운영을 위해 각종 대책을 내놨다. 교육당국은 올해 초부터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확대해 원격수업 질을 높인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개학 초부터 ‘EBS온라인클래스’와 ‘e학습터’ 등 공공 학습관리시스템(LMS)에서 학습관리 조회가 안 되고 접속이 끊기는 등 기능오류 문제가 불거지면서 논란이 됐다.

등교 대상도 늘렸다. 지난 1학기부터 등교수업 확보를 위해 유아와 초등학교 1·2학년은 학교밀집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전면등교가 가능한 소규모학교 기준도 기존보다 완화해 학교들이 등교를 늘릴 수 있도록 했다. 동시에 방역·생활인력을 배치하는 등 학교방역을 철저히 유지하면서 등교수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처했다.

하지만 연말로 와서야 전면등교를 전국으로 확대할 수 있었다. 전 국민 백신접종이 진행되면서 지난달 22일부터 교육분야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에 따라 전국 전면등교가 시행됐다. 문제는 위드코로나가 시행되면서 확진자가 폭증했다는 점이다. 결국 한 달도 채 못 가서 수도권에서는 다시 원격수업 병행으로 돌아가야 했다.

◇내년에도 불투명해진 전면등교…학급당 학생 수 감축 요구 커져

지난 13일 서울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지난 13일 서울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현재로서는 내년에도 전면등교 시행이 불투명해졌다. 교육부는 내년 신학기부터 전면등교를 원칙으로 하는 완전한 일상회복을 계획했다. 신 본부장은 “내년에도 전면등교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만 12~17세 백신접종률을 높여 전면등교 시행을 위한 기반을 다져놓겠다는 구상이지만 방역패스 적용으로 강제접종 논란이 일었다.

교육계에서는 감염병 사태 속에서도 안정적인 등교가 가능해지려면 학급당 학생 수를 대폭 줄이는 방법이 근본 대책이라고 입을 모은다. 전경원 경기도 교육정책자문관은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으로 상한하는 정책이 가장 빠르고 효율적”이라며 “과밀학급 해소를 유예한 결과로 학교 문을 열었다 닫기를 반복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정소영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변인도 “학급당 학생 수 문제를 풀어야 본질적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지난 7월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발표하면서 전국 과밀학급 학생 수를 28명 미만으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대책을 내놓기는 했지만 교육계에서 요구가 큰 학급당 20명과는 차이가 있다.

교육전문가들은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대책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교육회복 종합방안에 학습결손 해소 대책이 담겼지만 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전국 교육청에서 기초학력 전담교사를 배치한다고 하는데 1년 단위 비정규 강사로는 효과를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기초학력 미달이나 교과부진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며 “정서 안정과 함께 학습 의욕을 길러주고 학습습관도 고쳐주면서 원래 진도까지 나가려면 전담교사를 정규직으로 둬서 꾸준하게 지도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