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내감염 늘었지만 주 경로 아냐”…2학기 ‘등교 확대’ 힘 실리나

  • 뉴스1
  • 입력 2021년 8월 6일 06시 28분


코멘트
서울 한 초등학교가 감염병 확산에 따라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모습. 2021.7.12/뉴스1 © News1
서울 한 초등학교가 감염병 확산에 따라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모습. 2021.7.12/뉴스1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유행’ 여파가 지속하는 상황에서도 학생들이 학교 가는 날을 더 늘려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교육부가 ‘교내 감염’이 학생 확진의 주요 원인이 아니라는 분석을 내놓으면서 등교 확대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6일 교육부에 따르면 최은화 서울대 소아청소년과 교수(질병관리청 예방접종위원회 위원장)는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제공받은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학생 확진자의 감염 추세를 분석한 자료를 전날 공개했다.

분석 결과 올해 1학기(지난 3~7월) 확진된 학생 가운데 15.9%가 ‘교내 감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확진의 가장 주된 원인은 ‘가정 감염’으로 조사됐다. 전체의 48.7%를 차지해 절반 가까운 학생이 가족 확진으로 인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지역사회 감염’이 22.6%를 차지했고 나머지 12.8%는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았다.

숫자만 놓고 보면 지난해 2학기(지난해 9~12월)와 비교해 교내 감염과 지역사회 감염 비중은 커지고 가정 감염 비중은 줄었다.

지난해 2학기에는 전체 55.0%가 가족에 의해 확진된 것으로 조사됐었다. 교내 감염 비율은 12.5%로 올해 1학기와 비교해 3.4%p 적었다. 지역사회 감염 비율도 19.7%로 올해 1학기와 비교하면 2.9%p 낮았다.

교육부는 다만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전체적인 확진자 증가 추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의 경우 1년 동안 전체 인구 가운데 10만명당 월평균 14.6명꼴로 확진자가 나왔다. 이후 4차 대유행 여파로 지난 3월부터 7월까지는 월평균 10만명당 확진자가 26.5명에서 81.1명으로 급증했다.

학생의 경우 지난해에는 확진자가 10만명당 6.8명 발생한 데 그쳤지만 올해 3월부터 7월까지는 월평균 10만명당 17.9명에서 61.5명의 확진자가 나와 전국적 확산세의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 지난해 2학기와 비교해 올해 1학기 등교수업이 확대됐다는 점도 살펴 볼 부분이다. 올해부터 고3뿐 아니라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도 매일 등교 대상에 포함됐고 전면 등교가 가능한 소규모학교 기준도 완화되면서 등교수업을 받는 학생이 늘어난 상황이다.

교육부는 이번 분석 결과를 발표하면서 학교는 지역사회 대비 여전히 낮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며 교내 감염은 학령기 연령의 주된 감염경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확진자가 급증한 상황에서 학생 확진자도 증가 추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며 “교내 감염 비율이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학생 감염 원인을 보면 가정, 지역사회, 학교 순으로 나타나 지난해와 큰 차이는 없었다”고 밝혔다.

교육계 관심은 오는 9일 이후에도 수도권은 거리두기 4단계, 비수도권은 거리두기 3단계가 유지될 것으로 점쳐지는 상황에서도 등교수업이 더 늘어날 수 있을지에 쏠린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앞서 지난달 말부터 감염병 전문가, 교원단체 대표, 시·도교육감 등과 잇따라 간담회를 열고 2학기 학사운영 방안을 논의했는데 등교수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경우 거리두기 3단계에서도 전면 등교를 시행하고 4단계 때도 각급학교에서 전교생의 최소 3분의 1에서 최대 3분의 2가 등교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 더해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 장애 학생 등은 거리두기 단계와 관계 없이 매일 등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2학기 학사 운영 방안과 관련해 결정된 내용은 없다는 입장이다. 방역당국과 추가적인 협의를 거쳐야 한다며 오는 9일 관련 입장을 확정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