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처방전 무슨 말인지…” 농촌 어르신 50% 이상 ‘문자해독 못해’

  • 뉴시스
  • 입력 2019년 3월 14일 15시 25분


코멘트

농촌경제연구원 "농정 당국 문해교육 연계사업 시행 절실"

우리나라 농촌 노인의 절반 이상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읽기·쓰기·셈하기·문자해독 능력 등을 일컫는 ‘문해교육(文解敎育)’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세계 최고의 교육열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지만 농촌지역의 경우 어르신 절반 이상이 문자해독 능력이 없어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가는 데 큰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KREI 마상진 연구위원 등이 추진한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마 연구위원 등은 “농촌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문해교육이 시급하다”면서 “정부는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농업·농촌 특성에 맞는 문해 교재와 문해 교사 육성·조직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촌 노인 중 문해교육이 필요한 노인은 약 58%로, 기초 문해교육이 필요한 40만명을 포함해 약 100만 여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농촌 마을당 29명, 읍·면 당 754명(기초 문해교육 282명 포함) 수준이다.

농촌 지역 중에서도 읍보다는 면지역이, 성별로는 여성 노인층에 대한 교육 필요성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러한 문해력 저하로 농촌 노인 중 3분의1 가량이 관공서, 은행, 우체국 등에서 서류 작성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병원 처방전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공공 서비스를 이용시에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문해 능력을 갖춘 농촌 노인의 경우 사회참여 활동을 비롯해 공공서비스 이용률이 높았고, 건강과 삶의 질 측면에서도 더 나은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문해가 가능한 노인은 비문해 노인보다 정치 참여에 관심을 가질 확률은 1.9배, 농업·농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은 2.8배 높았다.

문해 노인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약 4.4배까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5배가량 높았다.

하지만 농촌 노인 비문해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크게 부족한 가운데 국가 정책도 농촌 문해와 관련한 정부의 비전이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목표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6년부터 교육 당국이 성인 문해교육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역량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농촌에 특화된 사업은 ‘1면 1문해학교’ 등 시범 사업 정도에 불과했고, 교육당국과 농정당국의 협력은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KREI 마상진 연구위원은 농촌 노인의 문해력를 높이기 위한 기본 방향으로 ‘문해에 대한 중앙·지방정부의 책무성 강화’를 일순위로 꼽았다.

이어 ‘문자해득 교육에서 벗어난 생애 역량 계발 연계’, ‘농촌 노인 특성에 맞는 비문해 해소 방안 모색’등을 제시했다.

그는 “비문해로 인해 그동안 누리지 못한 개인의 기본권 보장 차원에서, 국가 책임지는 문해교육을 통해 농촌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주=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