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 카톡방에 막다른 골목…경찰, 절체절명 위기 돌파할까

  • 뉴스1
  • 입력 2019년 3월 14일 06시 26분


코멘트

경찰청장 “철저수사” 공언에도 수사의지 의문 여전
승리·정준영 오늘 조사…유착 고위경찰 이름 나오나

© News1
© News1
가수 승리(본명 이승현·29)의 ‘투자자 성매매 알선 의혹’으로 시작된 사건이 가수 정준영(30)의 불법 촬영·유출 의혹에 이어 경찰 고위층과의 유착 정황까지 터져나오면서 경찰이 ‘누란지세’(累卵之勢)에 놓였다.

민갑룡 경찰청장이 13일 “마치 뒤를 봐 주고 있는 듯한 뉘앙스의 표현이 나오기 때문에 연루된 것이 없는지를 철저히 수사하고 있다”고 직접 밝히고 나선 것은 검경 수사권 조정 국면에서 경찰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해서라도 이번 수사를 완벽하게 마무리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14일 경찰 수사를 종합하면 클럽 ‘버닝썬’과 강남경찰서의 유착 의혹이 제기된데 이어 이씨와 정씨가 포함된 연예인들의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는 경찰 고위층이 뒤를 봐준다고 볼 수 있는 대화 내용이 확인됐다. 카톡 대화에서는 ‘경찰총장’으로 표현이 돼 실제 경찰청장을 의미하는지는 수사를 통해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해당 대화방에는 FT아일랜드의 멤버 최종훈(29)이 2016년 2월 서울 이태원에서 음주단속에 적발돼 벌금형 처분을 받았지만, 대화방 참여자가 ‘유력자’에게 부탁해 언론 보도를 무마했다는 내용도 담겼으며 ‘팀장’이라는 경찰 관계자로부터 생일 축하를 받았다는 내용까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민 청장은 “경찰의 유착 비리 의혹 등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철저히 수사하라고 지시했다”며 “서울청에서는 126명 규모의 합동 수사팀을 꾸렸고, 합동점검단을 편성운영해 일선 수사가 외압이나 내부 문제 등에 의해 왜곡되는 일이 없도록 점검하겠다”고 다짐했다.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13일 서울 강남 소재 사설 디지털 포렌식 업체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3년 전 정씨가 불법촬영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당시 휴대폰 복구 작업을 맡겼던 것으로 알려진 곳이다.

경찰이 전날 입국한 정씨를 체포하거나, 정씨의 휴대전화를 압수수색하지는 않고 지난 2016년 포렌식 업체부터 압수수색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증거확보보다 제보자 색출이 목적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국민권익위원회에 카톡 대화 증거를 신고한 방정현 변호사 역시 13일 라디오에 출연해 “경찰 조사에 출석했을 당시 제보자가 누군지 파악하려고 하는 식의 조사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권익위도 이씨와 정씨가 카카오톡 메신저 단체대화방에서 나눈 불법 동영상과 유흥업소(버닝썬)의 경찰 유착 의혹 사건 관련 자료를 경찰이 아닌 대검찰청에 넘기고 수사를 요청하는 등 간접적으로 경찰 수사의 부적절성을 표현했다.

경찰이 지난 12일 입국한 정씨를 공항에서 체포해 유력한 증거가 될 수 있는 휴대폰을 압수하지 않은 것을 두고도 뒷말이 나온다. 게다가 정씨의 자택이나 자동차 등 문제의 휴대폰을 확보할 수 있는 압수수색에 앞서 사설 디지털 포렌식 업체부터 압수수색한 것도 상식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정씨보다 디지털 포렌식 업체의 혐의를 크게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문이다. 결국 이번 압수수색이 방정현 변호사에게 카톡 대화방 자료를 넘긴 제보자를 색출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심을 사고 있다.

정씨를 체포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민 청장은 “긴급체포에는 법적 요건이 있는데 사건의 실체가 확인돼야 가능하다”며 “현재는 의혹이 제기된 단계이고 확인해가는 중이라고 보면 된다”고 해명했다.

의혹의 핵심인 이씨와 정씨는 이날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에 나란히 출석해 경찰조사를 받는다.

이씨는 서울 강남 클럽에서 투자자들에게 성접대를 한 혐의(성매매 알선 등 행위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정씨는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여성들과의 성관계 사실을 언급하며 몰래 촬영한 영상을 유포한 혐의(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카메라 등 이용 촬영)를 받고 있다.

이날 소환조사에서는 이들의 범죄 혐의 입증도 중요하지만 두 사람의 입에서 유착 의혹이 제기된 경찰 고위직의 이름이 나올지 여부에 경찰 안팎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