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식품 증가 등 수산업 위기… 수산물 판매 전략도 바꿔야”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4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이진우 부산수산정책포럼 사무총장


“소비성향이 많이 달라진 만큼 수산물 판매 전략도 바꿔야 합니다.”

이진우 부산수산정책포럼 사무총장(69·사진)은 12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수산업이 과거에 비해 어렵지만 돌파구는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어획량 감소, 어선 노후화, 어업인 고령화, 대체식품 증가를 수산업 위기 요인으로 꼽은 이 사무총장은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선택을 받으려면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터뷰 내내 강조했다.

그는 “수산업 발전 방법은 간단하다. 소비가 늘면 된다”고 말했다. 1인 가구, 건강식품 소비 증가, 어린이식품 등 다양해지는 소비자 트렌드에 주목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 총장은 “과거에는 식구가 많아 큰 생선이 잘 팔렸지만 요즘 혼자 사는 사람은 작고 먹기 좋게 포장된 생선을 산다”며 “부산의 어묵처럼 깨끗하고 영양가 높은 먹거리를 제공하면 소비자는 기꺼이 지갑을 연다”고 말했다.

부산수산정책포럼은 2012년 6월 부산지역 수산업계의 목소리를 모으기 위해 창립했다. 어민부터 수산물 가공·유통·판매업 종사자를 아우르며 회원은 약 7200명이다.

매년 초 정기총회를 시작으로 두 차례 포럼을 연다. 현안이 있으면 수시로 토론회나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 총장은 “수산업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주요 사안은 협의를 거쳐 해양수산부나 부산시 등에 정책 제안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책포럼은 지난달 ‘부산 2030 수산미래발전 토론회’를 열고 총 허용 어획량 확대, 어선 현대화 및 감축,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수산물 유통 개선, 해양 쓰레기 수거 시스템 개선 등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이 총장은 “국내 유통 수산물의 약 80%가 부산을 거쳐 간다. 부산이 국내 수산발전을 주도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라고 말했다.

정책포럼의 최대 관심사는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부산지역 공약이던 국가 수산식품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다. 약 1700억 원을 들여 수산식품산업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산학연(産學硏) 네트워크를 구성해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수출·창업·벤처 기업을 지원하는 컨트롤 타워를 구축한다. 이 총장은 “국내 수산업 재도약을 견인하기 위해 부산에서 반드시 이뤄져야 하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충남 보령 출신인 이 총장은 서울 경신고, 부산수산대(현 부경대) 식품공학과를 졸업했다. 35년간 수협에서 일하며 상임이사를 마치고 2012년 퇴직했다. 수산 분야의 풍부한 인맥을 자랑한다. 정책포럼 설립 때부터 실무를 총괄하고 있다.

정책포럼 이사장은 3명이다. 손재학 국립해양박물관장이 2년 임기 선출직 이사장을 맡고 있고 부경대 총장과 부산시 수협 조합장협의회 회장이 당연직 이사장이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