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하수처리장 하루 처리용량 22만t으로 늘린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2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관광객-인구증가로 하수발생량 급증… 모든 시설 지하로 옮겨 악취 예방
시설 개량해 하루 1만4000t 추가처리

오염된 하수를 그대로 바다에 방류했던 제주시 도두동 제주하수처리장. 지상의 처리시설을 지하로 옮기는 등 시설 확충 사업이 추진되지만 관광객 및 인구 증가로 인해 당분간 하수 처리에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제공
오염된 하수를 그대로 바다에 방류했던 제주시 도두동 제주하수처리장. 지상의 처리시설을 지하로 옮기는 등 시설 확충 사업이 추진되지만 관광객 및 인구 증가로 인해 당분간 하수 처리에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제공
 1994년부터 가동된 제주시 도두동 제주하수처리장은 시내 곳곳에서 밀려든 하수를 여러 차례 걸러내면서 정화한다. 이 과정에서 새어나온 악취가 하수처리장은 물론이고 인근 마을까지 번져나간다. 유입량이 처리 수준을 초과해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인(T-P) 등이 기준치를 넘길 때가 많다. 오염된 하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등 부실한 관리와 운영이 드러난 뒤 처리 과정에 손질이 가해졌지만 시설 용량이 대대적으로 확충되기 전에는 하수 처리난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부터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을 공개한 제주도가 31일 하수도 인프라 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하수처리장 시설 현대화를 위해 민간 자본을 끌어들이고 하루 100t 이상 하수가 발생하는 대규모 개발 사업장에 대해서는 자체 처리하도록 했다. 10개 중산간(해발 200∼600m) 마을에 설치된 농어촌 마을하수도를 전면적으로 확충해 처리 용량을 하루 441t에서 1만2500t으로 늘리기로 했다.

 현재 제주지역 주요 하수처리장은 모두 8곳으로, 하루에 처리하는 시설 용량은 23만1500t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하수 유입량은 하루 19만5896t으로 평균 85%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 환경부 하수도 시설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수처리장의 적정 가동률은 대규모 70%, 중소규모는 80%다. 제주(도두동), 대정, 성산 하수처리장의 가동률은 90% 이상으로 이미 적정 수준을 넘어섰다.

 이들 하수처리장 가운데 상황이 가장 심각한 곳은 제주하수처리장이다.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하수의 60%가 이곳으로 유입된다. 연간 1500만 명 수준의 관광객, 순유입인구 증가 등으로 하수 발생량이 급증하면서 처리난을 겪고 있다.

 제주도는 하루 최대 처리 용량이 13만 t인 제주하수처리장을 22만 t 규모로 늘리고 시설을 현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설 현대화의 핵심은 지상에 있는 하수 처리 시설을 모두 지하로 옮기는 것이다. 지하에서 하수를 처리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악취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 노후 설비를 새것으로 교체해 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른 사업비 3000억∼4000억 원은 민간에서 조달할 계획이다. 최근 발주한 시설 현대화 사업의 민간자본 투자 타당성에 대한 용역조사 결과는 3월 말에 나온다.

 환경부는 2035년까지 단계적으로 8개 하수처리장의 하루 최대 처리 용량을 지금보다 12만2500t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하수 발생량이 예상을 뛰어넘어 용량 증설 규모를 19만∼24만 t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제주도 판단이다. 시설 확충에 따른 국비 투자 규모가 너무 적고 시설 현대화를 위한 민간 투자가 확정되더라도 상당 기간 시일이 걸려 하수 처리의 어려움은 당분간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동헌 제주도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장은 “4, 5년 전 시설 확충에 대한 투자가 이뤄졌어야 했는데 시기를 놓쳤다”며 “문제가 심각한 제주하수처리장의 시설을 개량해 하루 1만4000t을 추가로 처리하도록 하고 대정, 성산 하수처리장의 증설 사업을 상반기에 마무리하는 단기 처방을 하겠다”고 말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