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사는 투쟁?… ‘파업 상품권’ 또 꺼낸 현대重 노조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해넘겨 45회 파업… 참가 노조원에 2015년 이어 지급 계획 논란

 회사의 구조조정에 반발하며 40차례 넘게 파업을 이어온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이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들에게만 따로 현금이나 상품권을 지급하기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

 17일 조선업계와 노동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노조는 파업 참가자들에게 ‘대가’를 지급하기로 내부 방침을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 노조가 파업 참가자를 파악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 타결 이후 그간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들에게 상품권으로 임금 손실분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2015년에 이어 다시 노조의 ‘파업 수당’이 등장한 것이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해 5월 2016년 임단협이 시작된 이후 72차례 협상 테이블에서 만났지만 해를 넘긴 지금까지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노조는 45번에 걸쳐 파업을 했고 이 가운데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총파업은 16번에 이른다.

 하지만 협상 기간이 길어지면서 파업 참가자 수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에 12년 만에 재가입한 후 첫 총파업이었던 11일, 집회 참가자 수는 1200여 명에 그쳤다. 전체 조합원 1만5000여 명 중 10%도 채 안된다. 이날 집회가 끝나고 노조 집행부는 참가자들에게 추첨을 통해 상품권을 경품으로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파업 참가자들에게 상품권과 현금을 주고 파업을 유도한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2015년 파업 당시 노조는 파업 참가자에게 기본급의 70%를 전통시장상품권으로 지급하고, 주요 공정 담당 조합원에겐 기본급 100%를 현금으로 지급했다. 파업 참가자에 대한 ‘대가’에 “파업을 돈으로 사는 거 아니냐”며 노조 안팎에서 비판이 일었지만 당시 노조는 4시간 부분파업에 참가한 4000여 명에게 약 2억 원어치의 상품권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 노조 관계자는 “파업 참여로 못 받은 임금을 보전해주는 게 아니라 집회에 나온 이들에게 식사비 조로 지급하는 것이고 지역사회를 돕는 차원에서 상품권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파업 참여로 못 받는 수당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해 파업 대가로 해석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다.

 노조가 조합원들에게서 걷은 조합비를 파업 참가자를 포함한 노조원들에게 지급하는 것 자체가 불법은 아니다. 하지만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교묘하게 피해가기 위한 수단으로 비난받을 여지가 있다는 것이 재계의 해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 노사대책 관계자는 “회사는 생산 손해를 입고 노조는 임금 부분의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 ‘무노동 무임금’ 원칙인데 노조가 파업 참가자 수를 늘리기 위해 상품권이나 돈을 주는 것은 원칙에 어긋난 것”이라고 비판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설연휴 전까지 임단협이 타결되지 않으면 ‘강대강’ 대립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임금 9만6712원 인상, 사외이사 추천권, 연 100명 이상 해외연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회사는 기본급 동결, 고정연장근무 폐지에 따른 임금 보전을 위해 월평균 임금 3만9000원 인상 등의 안을 내놓으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설연휴 전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이후에는 금속노조가 직접 단체행동에 개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사측 관계자는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노조가 파업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구조조정 중단까지 요구하고 있어 회사로서는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민지 기자 jmj@donga.com
#현대중공업#노조#파업#상품권#임단협#무노동 무임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