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사회기반시설 본격 추진… 제주 지형 바뀐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급증하는 관광객-물류 수요 맞춰… 제2공항 등 기본구상 용역 착수
지역주민 반발로 순탄치 않을 듯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에 들어서는 제2공항 예정지. 올해부터 사업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DB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에 들어서는 제2공항 예정지. 올해부터 사업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DB
 제주의 지형을 바꿀 제2공항, 신항만 등 사회기반시설(SOC) 건설이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제주 방문 관광객은 지난해 1585만1400여 명으로 2006년 531만 명을 기록한 뒤 불과 10년 만에 3배로 늘었다. 기존 공항이나 항만으로는 급증하는 관광객과 물류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어 신규 투자가 불가피하지만 주민 반발이 거세 사업 추진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해양수산부가 최근 제주시 탑동 신항만 건설 기본 계획을 마련했으며 제2공항 건설 사업과 관련해 개발 예정지 주변 지역에 대한 발전 기본 구상 용역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기본 구상에는 주민의 경제적 이익 창출이라는 기본 원칙 아래 공항 개발로 변화되는 정주 환경 개선 방안, 주변 지역 협력 상생 사업, 주민 참여 방안 등이 포함된다.

 제2공항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86만 m²에 4조8700억 원을 투입해 연간 2500만 명을 수용하는 규모다. 길이 3200m, 폭 60m의 활주로를 비롯해 계류장, 터미널 등을 갖춘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제2공항 건설 기본 계획 수립에 이어 2018∼2019년 실시설계, 2020년 용지 보상 및 착공, 2021∼2024년 공사, 2025년 개항하는 단계별 사업 계획을 확정했다.

 공항이 건설되기까지 넘어야 할 고비도 많다. 무엇보다 성산읍 주민들의 반대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주민들이 만든 제2공항 반대대책위원회는 기상 자료 오류 등에 따른 부실 용역을 이유로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진 5명을 검찰에 고발하고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한 집회를 수시로 열고 있다. 제주도는 갈등 해결을 위해 마을지역협의체, 민관협의기구를 구성하기로 했다. 공항 건설로 직접 피해를 보는 주민 의견을 수렴해 지역발전계획, 제도 개선 등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최근 해양수산부가 밝힌 ‘제주 신항만 건설 기본 계획’은 2030년까지 총사업비 2조4520억 원을 들여 제주 신항만을 동북아 크루즈 허브로 육성하는 내용이다. 기존 제주항은 제주와 내륙을 잇는 관문 항구로서 제주 해상 물류의 73.4%를 처리하고 있는데도 항만 규모가 협소해 확장 공사가 어려운 실정이다. 화물선과 여객선이 같은 항내로 드나들어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고 크루즈선도 공간이 좁아 정박 시간이 8시간 이내로 제한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주시 삼도동과 건입동, 용담동 일대 앞바다(탑동 해안)를 매립해 129만6300m² 규모로 신항만을 건설한다. 크루즈 및 여객 부두 선석, 방파제·방파호안 등이 조성된다. 배후 용지에는 상업, 업무, 물류산업 등의 시설 용지가 만들어진다. 신항만은 2018년 기본설계, 2020년 착공,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된다.

 하지만 신항만개발촉진법에 따른 해수부의 신항만 개발 계획에 대해 기획재정부 측은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밝히는 등 사업 추진에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신항만은 대규모 매립 공사가 이뤄지는 탓에 해양 환경 파괴 논란과 어민과 해녀를 포함한 주민과의 갈등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공항과 항만은 이미 포화 상태를 보여 신규 투자 사업이 늦은 감이 있다”라며 “다소 시일이 걸리더라도 주민들의 요구 사항을 대부분 반영하면서 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