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수저-흙수저 계급론 진짜 현실?…‘개천에서 용 안 난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31일 22시 03분


코멘트
부모의 계층과 학력, 직업이 자녀에게 대물림되는 현상이 점점 더 고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배경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는 이른바 ‘금수저’ ‘흙수저’ 계급론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다. 자신의 노력보다 부모의 계층에 따라 인생이 좌우된다는 젊은이들의 한숨이 단순한 마음가짐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우리 사회구조적 문제라는 지적이다.

3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사회통합 실태진단과 대응방안Ⅱ’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사회가 산업화 세대와 민주화 세대를 거쳐 정보화 세대로 넘어오면서, 직업과 계층의 세습은 더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지난해 6월부터 9월 사이 전국의 성인(19세 이상 75세 이하) 남녀 4000여 명을 대상으로 부모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 세대의 지위와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 면접 조사했다.

이들의 연령대를 중심으로 각각 산업화 세대(1940년생~59년생), 민주화세대(60년생~74년생), 정보화세대(75년생~95년생)로 세대를 구분한 뒤 이들 세대 간 사회이동의 변화양상을 확인했다.

이 결과,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력도 높았다. 아버지가 고학력자(대학 이상)일 경우, 자녀가 고학력자인 비율은 산업화, 민주화, 정보화세대에서 각각 64.0%, 79.7%, 86.9%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전체세대를 통틀어 아버지가 고학력자이고 자녀도 대졸 이상인 비율은 85.3%에 달했다.

반면 아버지가 중졸 이하인 경우, 본인이 대학을 가는 비율은 각 세대별로 18.5%, 40.7%, 61.6%로 나타났다. 평균은 40.9%였다. 전체적으로 대학입학자가 많아지는 추세 속에 일정하게 비율은 늘고 있지만, 이를 종합한 비율은 어떤 아버지를 두었느냐에 따라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아버지의 학력이 중졸 이하로 본인도 같은 학력을 가진 비율은 16.4%였다. 부모가 고학력자인데 자녀가 중졸인 경우는 없었다.

아버지의 직업이 관리전문직일 경우 자녀의 직업도 관리전문직일 비율은 42.9%에 달했다. 이는 평균(19.8%)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반면 아버지가 단순노무직일 경우, 자녀가 같은 직업을 가지게 될 확률은 9.4%였다. 이는 평균인 1.9%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 직업 세습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산업화 세대에는 본인의 학력이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결정적인 변수였다. 부모의 학력과 계층은 임금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정보화세대는 가족의 경제적 배경이 임금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경제적 지위가 학력과 직업을 선택하는 데 큰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는 “‘금수저·흙수저’ 계급론과 ‘갑질’ ‘n포세대(여러 가지를 포기한 세대라는 신조어)’ 등 우리사회의 문제를 지적하는 유행어를 보면, 우리 사회가 일시적 문제 상황이 아니라 구조적인 위기상황은 아닌지 걱정이 된다”라며 “산업화세대처럼 교육을 잘 받고, 기술훈련을 잘 하면 계층이동이 가능하다고 젊은이들이 생각해야 사회통합도 원활히 이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