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가 돈이다]<상> 세 가지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8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버린만큼 요금 부과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면 시행되면
쓰레기 20%↓ 처리비 年1600억↓

서울 금천구 시흥동의 한 아파트에 사는 주부 김미영(43)씨는 6월 음식물쓰레기 요금으로 1170원을 냈다. 지난해 6월에 낸 음식물쓰레기 요금(1300원 정액납부)보다 다소 줄어 든 것. 김씨의 아파트가 올해 6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도입하면서 생긴 변화다. 단지별로 수거함에 버려진 음식물쓰레기의 총량을 측정해 합산한 뒤 수수료를 가구별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방식에서 가구별로 배출한 쓰레기 양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하는 ‘무선주파수인식(RFID) 방식’으로 바뀌었다.

김 씨는 “우리 집은 여름에 수박도 거의 안 먹고 음식쓰레기가 다른 집보다 적은 편인데 종전에는 똑같이 부담을 해야 해 억울했다”며 “많이 버리면 그만큼 돈을 많이 내야 해 요리할 때부터 신경을 쓰게 되는 것도 종량제의 효과인 거 같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하루 평균 1만5000여 t에 이른다. 국민 한 명당 약 300g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셈이다. 정부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비용으로 연간 8000억 원이 소요되고, 음식물의 생산 유통 조리과정에 소모되는 비용까지 포함하면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2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6월부터 전국에 확대 실시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를 줄여 경제적 낭비를 최소화하고 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다. 음식물쓰레기를 아무리 많이 버려도 정해진 수수료만 내도록 했던 기존 방식과 달리 버린 만큼 부담금을 차등화해 쓰레기를 적게 버리는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는 게 이 제도의 골자다.

환경부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전면 시행되면 한 해 쓰레기 발생량이 연간 20% 줄어 1600억 원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정도만 줄어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소나무 3억6000만 그루를 심는 친환경적 효과가 생긴다는 게 관련 기관들의 분석이다.

현재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운영 방식은 크게 세 가지다. 우선 RFID 방식은 지정된 곳에 쓰레기를 버리면 전자카드나 전자태그를 통해 쓰레기를 배출한 가정을 확인하고 무게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한다.

‘전용봉투제’는 음식물 전용봉투를 구입해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을 선납하는 방식이다. 기존에는 음식물쓰레기 용기함에 음식물만 버렸지만 전용봉투에 담아 버리면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위생적이다. 편의점 등에서 구입한 ‘납부칩’이나 ‘스티커’를 수거용기에 부착한 뒤 배출하면 환경미화원이 칩 또는 스티커가 부착된 용기에 한해 수거하는 방법도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일은 돈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식생활 문화 자체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식재료 구입이나 보관 방법을 개선해 쓰레기 자체를 줄이는 환경부의 대국민 캠페인 ‘줄일수록 좋아요’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신광영 기자 ne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