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착공 이후]오락가락 한명숙, 틀린 사실 쏟아낸 김진표

  • Array
  • 입력 2012년 3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한명숙 “평화의 섬 제주 무자비한 폭파 용납 못해”
과거엔 “평화의 섬과 해군기지는 양립 가능하다”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케이슨’ 바다 투하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위해 강정마을 구럼비 해안으로 옮겨진 케이슨(바닷물이 오가도록 만든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공사 관계자들이 8일 바다에 투하하기 위해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서귀포=이훈구기자 ufo@donga.com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케이슨’ 바다 투하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위해 강정마을 구럼비 해안으로 옮겨진 케이슨(바닷물이 오가도록 만든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공사 관계자들이 8일 바다에 투하하기 위해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서귀포=이훈구기자 ufo@donga.com
민주통합당이 제주해군기지 건설 중단을 4·11총선 이슈로 만들겠다며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정작 한명숙 대표와 김진표 원내대표는 해군기지 건설에 대한 말이 오락가락하거나 사실관계가 틀린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한 대표는 2월 23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말 바꾸기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다. 강정마을은 원래 민·군항 기지로 설치하기로 했는데 지금 군사기지로 건설하고 있다. 그래서 전면 재검토하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군 복합 항구가 아닌 군사기지로 건설되는 제주해군기지는 반대한다는 논리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에서 당초 해군기지로 추진되던 것을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뒤 민항과 군항이 공존하는 ‘민군 복합형 관광미항’으로 건설하기로 결정한 것이어서 한 대표는 사실 관계를 거꾸로 말하고 있다.

한 대표는 국무총리 시절인 2007년 2월 12일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군사기지로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대양해군을 육성해야 하고 남방 해상교통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해군기지를 건설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군사전략상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주도민에게 설명해 왔고 이해와 협조도 부탁했다”고 말했다.

또 한 대표는 7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무자비한 폭파 강행을 결단코 용납할 수 없다”며 “제주도민의 울부짖음에 귀를 기울여 달라. 민주당은 모든 힘을 집중해 평화의 섬 제주도를 지켜낼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평화와 해군기지 건설은 공존할 수 없다는 논리다.

그러나 2007년 2월 12일 국회 답변 때는 달랐다. “제주에 세계 평화의 섬과 해군기지가 양립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평화의 개념이 기지를 만드는 것으로 완전히 파괴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당시 국회에서 “제주도를 평화의 섬으로 남겨 달라”며 총리였던 한 대표를 압박한 주인공은 7일 발파 현장에 한 대표와 함께 있던 김재윤 민주당(당시 열린우리당) 의원이었다. 한 대표는 당시 김 의원에게 “제주도민에게 이것(평화와 해군기지의 양립 가능)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 의원께도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8일 민주당의 여성정책 공약을 발표하는 ‘정책공약 검증회의’에서 “국내 유일의 바위 습지이고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인 구럼비 해안의 폭파 작업을 당장 중단하고 연행자를 즉각 석방하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에 따르면 2002년 제주 한라산과 서귀포 앞바다의 섶섬, 범섬, 문섬 일대가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선정됐지만 강정마을의 ‘구럼비 해안’은 포함되지 않았다. 김 원내대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서 구럼비 해안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과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됐다는 주장이 나도는 걸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구럼비 해안은 세계자연유산이 아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