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藥소국’서 신약 강국으로… 1조원 투입 3개 부처 공동지원 사업단 정식 출범

  • Array
  • 입력 2011년 9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9년내 10개 이상 개발 목표… 우수 프로젝트 1000억대 지원

2019년까지 총 1조 원이 투입되는 사상 최대 규모의 국가 신약 개발 프로젝트를 책임질 사령탑이 20일 출범했다.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는 “세 부처가 공동 지원하는 재단법인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창립 이사회를 갖고, 2020년까지 10개 이상의 글로벌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창립 이사회에서는 이동호 사업단장을 비롯해 3개 부처의 추천을 받아 선임된 이사와 감사들이 올해 사업계획과 예산안을 심의했다. 이사와 감사는 주로 신약 개발과 관련된 정부, 학계, 산업계 인사들로 구성됐다.

이처럼 신약 개발에 범정부적으로 대규모 지원에 나선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글로벌 신약은 성공하면 ‘대박’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제약산업 구조상 업체 자율에만 맡길 경우 결실을 맺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이를테면 2012년 특허가 만료되는 미국 암젠사의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엔브렐’은 연간 50억 달러(약 5조7500억 원) 이상씩 판매됐다. 웬만한 국내 중견기업의 총매출액과 맞먹는다. 하지만 이 같은 신약 블록버스터를 개발하는 데는 3억∼10억 달러의 연구비가 들고, 투자기간도 10∼15년이 필요하다. 영세한 국내 제약사는 넘볼 수 없는 수준이다.

2009년 글로벌 제약사인 로슈의 연구개발(R&D) 투자비는 85억7000만 달러, 화이자는 78억4500만 달러였다. 하지만 국내 상위 20개 제약사의 R&D 비용을 모두 합쳐도 4억1000만 달러에 불과하다. 신약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매출이 저조할 때가 많다. LG생명과학이 3000억 원을 투자해 개발한 항생제 팩티브 정의 매출액은 연간 190억 원 안팎이다.

사정이 이러니 글로벌 제약사들과 게임이 안 된다는 패배의식이 확산될 수밖에 없다. ‘규모의 한계’를 넘으려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2009년 4월 범정부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이듬해 범정부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평가했고, 그 결과 3개 부처가 협력해 우수 프로젝트를 발굴, 지원한다는 합의가 나왔다. 지난해 12월 사업예산을 확정한 뒤 마무리 작업을 거쳐 이날 사업단을 발족한 것. 사업단은 추후 글로벌 제약사들의 선진 신약 개발 기법을 분석해 사업성을 평가한 뒤 최종 투자처를 결정키로 했다.

국내 제약사나 바이오기업 연구진이라면 지원 대상이 된다. 사업단에 제출한 프로젝트가 우수하다고 인정받으면 평균 1000억 원대를 지원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신약 1개 품목당 평균 투자비용을 2080억 원으로 추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후보물질 발굴에 30억 원, 동물실험 단계인 전(前) 임상실험에 50억 원,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1상 시험에 100억 원, 일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2상 시험에 800억 원,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3상 시험에 1100억 원을 투자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미래가 유망한 신약은 후보물질 발굴 단계부터 임상2상까지 지원하지만 희귀질병 치료제는 임상3상까지 모두 지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위용 기자 viyonz@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