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존을 향해/1부]<4>민심 왜 못읽나…이철희 부소장

  • Array
  • 입력 2010년 7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4>정치, 민심과 通하고 있나
■ 30대 유권자 - 초선 국회의원 - 원로정치인 - 정치학자 - 여론조사 전문가 릴레이 인터뷰
여론조사 맹신하는데 민심은 보다 복합적 여론 이끌 생각을 해야

《정치의 본래 기능은 엇갈리는 이해(利害)를 조정하고 갈등을 완화하는 것이다. 생각을 달리하는 사람들이 싸우지 않고 공존하며 살 수 있도록 돕는 장치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정치가 오히려 갈등의 진원이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정책 차원에서는 충분히 타협 가능한 문제도 정치색이 덧칠되는 순간 파국으로 치닫는다. 국민의 삶과 무관한 정쟁(政爭)으로 날을 새운다. 민심과 따로 노는 정치에 대해 선거 때면 국민들은 호된 회초리를 들곤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도 않는다. 멀쩡하던 사람도 국회에 들어가기만 하면 ‘새 피’가 아니라 소속 정당의 행동대원이 돼 육탄전을 벌이기 때문이다. “여러분의 충실한 심부름꾼이 되겠다”는 선거 때의 약속은 간데없다. 한국에서 정치는 ‘공존과 소통을 막는 주범’이 돼버렸다. ‘성숙한 사회’와는 거리가 너무 멀다. 정치권이 ‘국민 불신 1순위’를 벗어날 길은 없을까. 평범한 유권자의 문제 제기를 시작으로 초선 정치인, 원로정치인, 정치학자, 여론조사 전문가의 고언을 들어봤다.》

○ 이철희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부소장(46)


선거를 통해 표출된 민심을 정치권이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민심과 여론조사 결과를 혼동하는 일도 잦다. 사람들이 투표를 할 때는 당일 기분에 의해 하는 게 아니다. 그 이전부터 생각해 온 것들을 종합해 찍는다.

하지만 여론조사는 질문을 받는 순간의 정서에 따라 달라진다. 여론조사는 흐름을 읽는 수단으로 활용해야지 수치에 빠지면 안 된다.

그럼에도 여론조사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것은 정당기능이 약화됐기 때문이다. 후보 공천 때마다 여론조사를 하는데 그렇다면 유명 인사들이 공천된다. 그건 공천권을 방송이 갖는 셈이다. 정당이 자기권한을 포기하는 것이다. 대중에게 친숙하다는 이유만으로 공천한다면 굳이 투표를 할 필요가 있을까.

당선 가능성만이 아니라 정당의 가치와 노선에 맞는 사람을 내보내야 하는 것 아닌가. 정당은 여론을 따라가는 게 아니라 여론을 끌고 가야 한다.

정리=김기현 기자 kimkihy@donga.com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황장석 기자 surono@donga.com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