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잠수정이 북한제 어뢰로 천안함 침몰시켰다”

  • Array
  • 입력 2010년 5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민군 합조단 “수거한 어뢰부품, 北무기 수출용 책자 설계도면과 정확히 일치”

천안함 공격 北어뢰 CHT-02D 잔해 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 공개한 북한산 ‘CHT-02D’ 어뢰 잔해. 왼쪽 원통형 물체는 어뢰의 추진모터이며 오른쪽은 샤프트(축), 조종장치, 프로펠러이다. 합조단은 이 어뢰가 북한의 수출용 무기 소개 책자(카탈로그)에 소개된 설계도면과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영한 기자
천안함 공격 北어뢰 CHT-02D 잔해 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 공개한 북한산 ‘CHT-02D’ 어뢰 잔해. 왼쪽 원통형 물체는 어뢰의 추진모터이며 오른쪽은 샤프트(축), 조종장치, 프로펠러이다. 합조단은 이 어뢰가 북한의 수출용 무기 소개 책자(카탈로그)에 소개된 설계도면과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영한 기자
1- 손으로 쓴 ‘1번’, 北 표기방법 일치

민군 합조단은 15일 오전 9시 25분경 천안함 침몰 해역 47m 수심에서 쌍끌이 어선을 동원해 각각 5개의 순회전 및 역회전 프로펠러, 추진모터, 조종장치를 통째로 건져냈다. 이 어뢰 부품들을 ‘북한산 무기소개책자(카탈로그)’에 소개된 CHT-02D 어뢰 설계도면과 비교한 결과 크기와 형태가 정확히 일치했다. 또 추진체 뒷부분 내부에 손으로 직접 쓴 ‘1번’이라는 한글 표기는 7년 전 수거한 북한의 훈련용 어뢰에 적힌 ‘4호’와 표기방법이 일치했다.

결정적 증거 ‘1번’ 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천안함 침몰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결정적 증거물로 공개한 북한 어뢰의 추진체, 프로펠러의 뒷부분 안쪽에 ‘1번’(점선안)이라는 푸른 글씨가 선명하다. 합조단은 이 글씨가 7년 전에 수거한 북한의 훈련용 어뢰에 적혀있던 ‘4호’와 표기 방법이 같다고 밝혔다. 전영한 기자
결정적 증거 ‘1번’ 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천안함 침몰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결정적 증거물로 공개한 북한 어뢰의 추진체, 프로펠러의 뒷부분 안쪽에 ‘1번’(점선안)이라는 푸른 글씨가 선명하다. 합조단은 이 글씨가 7년 전에 수거한 북한의 훈련용 어뢰에 적혀있던 ‘4호’와 표기 방법이 같다고 밝혔다. 전영한 기자
2- 어뢰 화약, 천안함 34곳 이상서 검출

천안함 곳곳에서는 어뢰의 화약성분이 검출됐다. 화약성분인 RDX는 5곳에서, TNT는 2곳, 고농축 폭발물 HMX는 19곳에서 검출됐다. 황과 흑연도 발견됐다. 특히 폭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뢰 폭약에 넣은 알루미늄 파우더(가루)가 함수 함미 연돌 등 8곳에서 알루미늄 산화물(흰색 분말) 형태로 발견됐다. 천안함에서 검출된 알루미늄 산화물이 수거한 어뢰 프로펠러 2곳에서도 똑같이 발견돼 이 어뢰가 천안함을 타격한 주범임이 확인됐다.

3- 사라진 北 잠수함 천안함 침몰후 복귀

합조단은 천안함 침몰(3월 26일) 2, 3일 전 북한의 상어급 잠수함 1척과 연어급 잠수정 1척이 서해 북한 해군기지를 이탈한 뒤 2, 3일 뒤에 기지로 복귀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이들 잠수함정을 지원하는 모선(母船)도 함께 움직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시기에 다른 주변국 잠수함정들은 모두 자국의 모기지 또는 그 주변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합조단은 연어급 잠수정이 서해 외곽을 우회해 침투한 것으로 보고 있다.

4- 함체 절단면 강력한 수중폭발 입증

함체를 지탱해주는 용골과 외판이 위로 심하게 꺾였다. 주갑판도 좌현 쪽이 위로 크게 변형됐고 함수 함미의 밑바닥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꺾여 함체 좌현 아래에서 수중폭발이 있었음을 보여줬다. 함체 내부 절단된 전선에 열 흔적이 없었고 천안함에서 발견된 시신에 골절과 열창이 있었지만 파편상과 화상 흔적은 발견되지 않아 수중폭발에 의한 강력한 충격파와 버블효과가 천안함의 절단과 침몰 원인임을 확인해줬다.

5- 백령도 초병 ‘100m 높이 물기둥’ 목격

합조단은 2차 중간 조사결과 발표까지도 물기둥 목격자를 찾지 못했으나 최종 결과 발표에서는 몇 가지 증언을 확보해 발표했다. 물기둥은 폭약이 선박 아래쪽 근거리 수중에서 폭발하면서 버블제트 효과가 나타날 때 대부분 발생한다. 합조단은 백령도의 해안 초병이 높이 100m, 폭 20∼30m의 섬광 기둥을 발견했고, 천안함 좌현 견시병이 폭발과 동시에 넘어지면서 얼굴에 물방울이 튀었다는 진술 등을 근거로 들었다.

6- 시뮬레이션 통해 버블제트 확인

합조단은 다양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입증 작업을 거쳤다. 천안함이 어떻게 두 동강 났는지에 대해 수차례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심 약 6∼9m,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좌현 3m 위치에서 폭발량 200∼300kg 규모의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결론지었다. 어떻게 천안함 절단면과 같은 형태가 나올 수 있는지, 북한 어뢰 화약성분이 어떻게 연돌 등에 남게 되었는지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했다.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


▲ 동영상 = 北어뢰 파편 공개…천안함 침몰 결정적 증거





▲ 동영상 = 처참한 천안함 절단면…北 중어뢰 공격으로 침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