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나는 공부]기말고사 대비 서술형 평가 과목별 점검!<국어편>

  • Array
  • 입력 2010년 5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교사가 자주 사용하는 핵심단어-문장을 활용
‘∼한다’ 같은 완성형 문장으로 필기습관 가져야

국어 서술형 문제의 답안을 작성할 때는 문제가 요구하는 내용만을 한두 문장으로 쓰는 것이 좋다. 사진은 학생을 지도하는 서울대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윤구희 교사(사진 오른쪽).
국어 서술형 문제의 답안을 작성할 때는 문제가 요구하는 내용만을 한두 문장으로 쓰는 것이 좋다. 사진은 학생을 지도하는 서울대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윤구희 교사(사진 오른쪽).

《중간고사가 끝났다. 새 학기 첫 시험에서 상위권 진입을 노리던 학생들의 ‘발목’을 잡은 것은 뭐였을까? 바로 ‘서술형 문제’다. 특히 중학교에 입학해 첫 중간고사를 치른 중1들에게 서술형 문제는 초등학교 때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난관’이었다. 서술형 문제 때문에 중간고사 고득점에 실패했다고? 아직 포기는 이르다. 기말고사 고득점을 위해 중간고사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서술형 문제에 완벽히 대비해야 한다. 이번 주부터 3회에 걸쳐 과목별로 중간고사에 출제됐던 서술형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학생들이 주로 겪었던 문제점을 진단해본다.》

“서술형 문제에 대비해 평소 선생님께서 수업시간에 강조한 부분만 따로 노트에 정리해서 핵심 내용을 파악했어요. 시험 전날엔 제가 이해한 내용과 선생님의 필기를 바탕으로 핵심내용을 문장으로 한 번 더 정리해봤죠. 이렇게 공부했는데도 실제 시험 서술형 문제에서 4점이나 감점됐어요.”(임모 군)

핵심 내용을 완벽히 공부해 국어시험 객관식 문제를 완벽히 풀어낸 학생도 막상 서술형 문제에서는 감점당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왜 그럴까? 이는 국어 서술형 문제의 특징을 잘 파악하지 못한 채 공부를 하거나 답안을 작성했기 때문이다.

다음은 서울대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1학년 중간고사 국어시험에 출제된 문제와 이 학교 1학년 A 군(13)이 실제 작성한 답안이다. 이를 토대로 국어 서술형 문제의 특징과 국어 서술형 문제 대비법을 알아본다.
[문제 특징1]
‘개념’이 아닌
‘주장’이나 ‘생각’을
물어보는 문제 출제


[대비전략] 지문 내용을 바탕으로 간결하고 정확하게 쓰는 연습을 하라!

A 군의 ‘문제1’에 대한 답이 다소 부족해 보이는가? 결코 그렇지 않다. 서술형 문제의 답안을 작성할 때는 A 군의 답변처럼 문제가 요구하는 내용만을 한두 문장으로 간결하고 정확하게 쓰는 것이 좋다. 하지만 적지 않은 학생들이 ‘서술형 문제 답안을 쓸 땐 아는 것을 모두 쓰는 것이 좋다’고 착각하고 있다.

특히 국어의 경우 본인의 ‘생각’이나 ‘주장’을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돼 학생들이 무조건 답을 길게 쓰는 실수를 범할 가능성이 다른 과목에 비해 높다.

이런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선 우선 ‘쓰는 연습’을 해야 한다. 평소 국어 교과서 지문을 읽으며 △주제 △주장에 대한 근거 △필자(주인공)의 심리상태 등을 한두 문장으로 정리해보자. 처음엔 단락별로 주요 내용을 나타내는 문장을 지문 내에서 찾아 문장 그대로 노트에 옮겨 적고, 이후 ‘소설 속에 드러난 주인공의 갈등의 원인은 ∼이라고 생각한다’처럼 자신이 생각한 바를 문장 옆에 적는다. 마지막으로 단락별로 정리했던 내용을 토대로 글 전체의 내용을 한두 문장으로 정리한다. 시험 전날에 정리한 내용을 이면지 등에 옮겨 적으면서 평소 수업시간에 교사가 중요하다고 말했던 부분은 어느 정도 숙지해놓는 것이 좋다.
[문제 특징2]
구체적이고 명확해진 채점기준


[대비전략] 핵심내용을 파악하고 기본 문법을 반드시 익혀라!

서술형 문제 비중이 확대되면서 채점 기준도 강화됐다. ‘주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의견과 그 근거가 정확히 제시된 경우’처럼 다소 모호했던 채점 기준이 ‘휴대전화기를 아껴 써야 한다는 주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과 근거가 분명한 글’처럼 보다 명확해졌다.

하지만 학생들이 시험 전 채점 기준을 예상하며 공부하기는 매우 어렵다. 사회의 경우 ‘고상가옥’ ‘널무덤’ 등 ‘키워드’로 나오는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공부하면 된다. 하지만 국어는 주로 △주인공의 심리상태 변화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비판하고자 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무엇을 중점적으로 공부해야 하는지, 답안을 작성할 땐 어떤 단어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하는지 도통 갈피를 못 잡는 학생이 적지 않다.

이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우선 수업시간 교사가 학생들에게 어떤 질문을 하는지, 어떤 단어와 문장을 반복해 사용하는지 등을 유심히 관찰한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질문하는 내용은 실제 시험에서 서술형 문제로 변형돼 출제될 수 있기 때문. 또 교사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와 문장은 서술형 답안에 반드시 포함되는 ‘핵심단어’ ‘핵심문장’일 가능성이 높다. 이 두 가지는 필기노트 맨 아래쪽에 여백을 만들어 따로 적어놓는 것이 좋다. 이후 복습을 할 때 교사가 한 질문을 토대로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자주 사용한 단어와 문장을 포함시켜 답안을 만들어 서술형 평가에 대비할 수 있다.

국어 서술형 문제 채점 시 문법은 가장 기본적이며 객관적인 기준이다. 따라서 국어시험에선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의 완성도 등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평소 ‘∼한다’와 같이 완성형 문장으로 필기하는 습관을 기르자. 맞춤법, 띄어쓰기 등에 유의해 교과서 지문을 정독하면 자연스레 기본적인 문법과 문장구조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도움말 서울대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윤구희 국어과 교사, 서울 대왕중학교 백영숙 국어과 교사

이승태 기자 st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