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우포늪 하늘에 따오기 날게 될까?

  • 입력 2008년 5월 13일 07시 17분


《“따오기는 철새여서 복원이 안 된다.”

“장기 투자를 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2008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

(COP 10·10월 24일∼11월 4일)가

열리는 경남지역에서 따오기 복원 논쟁이 한창이다.

동요에도 등장하는 따오기는 1970년대 후반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췄다.》

▽복원 추진=경남도와 창녕군 등은 최근 국내 최대의 자연 늪인 창녕 우포늪 옆 둔터마을에서 ‘따오기 학교’ 개교식을 했다. 따오기 복원을 위한 자원봉사자 확보와 따오기 브랜드화 준비, 따오기를 매개로 한 지역공동체 형성 등이 설립 목적이다.

김태호 경남지사는 “따오기를 자생지(중국 산시 성 양 현)에서 들여와 복원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달 말 이명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 기간 중 양국 정상이 따오기 한 쌍 기증에 합의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고 말했다.

도입 시기와 방법 등은 협의를 거쳐야 하지만 환경부는 COP 10 이전에 국내에 들여온다는 구상. 중국 측은 “따오기를 복원할 지역을 우선 둘러보고 싶다”는 의향인 것으로 알려졌다.

2005년부터 따오기 복원에 관심을 가진 창녕군은 15억 원을 들여 따오기 학교 주변의 2만3000㎡를 복원센터 터로 사들이고 있다.

▽“안될 말씀”=따오기 복원에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사육은 가능하나 자연 방사는 어렵다는 주장. 중국과 일본에서는 텃새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새였으며, 텃새로 살아갈 ‘능력’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한국교원대 박시룡(동물행동학) 교수는 “완벽한 서식지를 만들어 주고 따오기 100마리를 증식해 방사해도 30년 이내에 모두 없어진다. 알과 새끼 때 포식자에 의해 희생되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겨울철새를 텃새로 복원하는 나라를 봤느냐”고 반문했다.

‘철새박사’인 윤무부 교수도 “철새의 이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먹이와 천적이다. 두 가지 모두 충족되지 않아 우리나라에서 따오기의 복원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종합적인 검토 없이 한건주의 식으로 업무를 처리해서는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조류보호협회 관계자도 “복원 프로그램 구축과 전문가 양성 등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을 기울여도 될까 말까한 사업”이라고 밝혔다. 따오기 복원은 환경부의 ‘멸종위기 동식물의 증식 복원계획’에도 빠져 있어 엄청난 예산과 인력 확보도 난제다.

▽“될 수 있다”=한국환경생태연구원의 한 연구원은 “철새가 텃새로 변하는 사례가 자주 관찰된다”며 “오래전 우리나라에서도 따오기가 번식한 흔적이 발견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인식 따오기학교장은 “중국과 일본뿐 아니라 우리나라 상당수 학자들도 우포늪을 둘러본 뒤 따오기 복원의 적지로 꼽았다”며 “10년 이상의 장기 계획을 세워 추진한다면 성공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따오기가 살 수 있는 곳은 인간의 건강한 삶도 보장된다”며 “생물종 다양성의 유지와 회복, 친환경농업의 확대는 지구촌의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따오기 복원에 지역 주민과 자원봉사자가 참여하고, 친환경농업 확대를 통해 소득을 창출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다는 주장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상징성만으로도 가치가 있으며, 복원에 대한 논란은 전문가가 두루 참여하는 토론회를 통해 진지하게 접근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