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이윤배]청소년 ‘인터넷 윤리’ 교사 양성 급하다

  • 입력 2008년 2월 28일 02시 55분


이명박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초중등학교 영어교육이 질적인 면에서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게 됐다. 세계 공용어인 영어 공교육 강화는 글로벌 시대를 대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영어만 잘한다고 해서 곧바로 세계인이 되고 세계화의 초석을 다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올바른 사고와 사상을 가질 때 더욱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늘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그동안 산업화는 뒤처졌지만 정보화만은 선진국들보다 앞서 보자는 목표 아래 정보산업 육성과 정보화 마인드 확산에 전력을 다해 왔다.

그 결과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세계 1위, 만 6∼19세 청소년층의 인터넷 사용률이 97.7%에 이르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한 인터넷 강국이 됐다.

분명 인터넷은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생활도구이자 정보의 보고(寶庫)이며 지식 창출의 중요한 수단이다. 그리고 인터넷은 청소년의 사고와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화적 환경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한글로 제공되는 유해 사이트의 경우 지구상에서 영어에 이어 두 번째이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스팸메일을 많이 발송하는 나라, 그리고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가 50%를 넘는 나라라는 오명도 함께 쓰고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사이버중독(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채팅중독), 사이버폭력(사이버 언어폭력, 사이버 성폭력 및 성희롱, 사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매매춘, 컴퓨터 음란물), 개인 정보의 오남용은 물론 저작권 침해 등도 심각한 수준이다.

이 같은 인터넷의 역기능 속에 세계화의 주역이 돼야 할 초중등학생들이 아무런 대책 없이 버려진 채 알게 모르게 영혼이 병들고 망가지고 있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나 더 심각한 문제는 청소년들이 사이버상에서의 일탈 행위를 전혀 ‘범죄’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그냥 재미로, 유명해지고자, 실력을 자랑하고자’ 해킹을 하고 악성 댓글을 달고 있다.

상황이 이 지경이 된 것은 ‘인터넷 윤리교육’을 등한시해 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인터넷 교육은 정보화의 순기능만 강조한 채 정보통신 기술 습득에만 치중해 왔다. 인터넷 윤리교육은 이러한 정보화의 역기능으로 초래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대책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정보화 소양을 갖추고 자율적 창의적 도덕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터넷 윤리교육 강화는 더는 늦출 수 없는 과제다. 초등학교부터 인터넷 윤리를 필수과목으로 채택하거나 학생들을 지도 편달해 줄 수 있는 인터넷 윤리교사를 양성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새 정부는 전 국민의 9%, 청소년의 14%가 인터넷 중독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영어 공교육 강화 이상의 인터넷 윤리교육 강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건강한 청소년이 없는 나라는 미래 또한 없기 때문이다.

이윤배 조선대 교수 컴퓨터공학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