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쫙!아이 독서지도]상상력은 훈련이 아닙니다

  • 입력 2007년 4월 10일 03시 02분


코멘트
아이들에게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말을 한다. 상상력 훈련을 따로 받는다는 말도 한다. 하지만 상상력이 훈련을 한다고 길러질까? 상상력은 훈련을 통해 키워지는 게 아니라 자유롭게 놀고 생각하고 표현할 수 있는 데서 출발한다.

원래 아이들은 나무 막대기 하나만 갖고도 지팡이, 우산, 양산, 칼로 바꿔 가며 신나게 놀 수 있는 존재다.

책도 마찬가지다. 아이의 상상력을 키우는 특별한 책이 따로 필요한 건 아니다. 책을 읽으며 얻는 상상력이란 느낌에 따라 자유롭게 보고 이야기할 수 있는 자유가 있을 때 생겨나는 것이다. 책 속 내용이 놀이가 되고, 경험했던 놀이가 다시 책 속에 녹아드는 과정을 통해서 상상력은 커 간다.

어른의 잣대로 모범 답안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아이가 책을 읽고 상상한 세계를 이야기할 때 “말도 안 돼!” “그게 무슨 말이야?” 해서는 안 된다. 뭐든지 박자가 맞을 때 효과는 커지는 법이다. 엄마가 아이에게 맞춰 주면 아이는 신이 나서 상상의 날개를 더 활짝 펴 나간다.

다른 분야는 몰라도 과학 분야에서 지나친 상상력은 과학을 배울 때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여기는 분들이 있다. 그래서 아이가 호기심이 생겨 질문을 하기 시작하면 대답도 과학적으로 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원인과 결과가 분명한 과학조차도 상상력은 꼭 필요하고, 실제 있었던 사건을 다루는 역사에도 상상력은 꼭 필요하다.

의문이 생기면 ‘혹시 이런 건 아닐까?’ 하고 가설을 세워 보고 부닥쳐 본 뒤에 오류를 느끼면 또 다른 가설을 세워 보고 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발전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가설을 세워 보는 것 역시 상상력이 바탕이 될 때에야 가능한 것이니 말이다.

비가 오는 것을 보고 ‘견우랑 직녀가 만나고 있나 보다!’ ‘용이 하늘에서 비를 뿌리는 거야!’라고 말하는 아이라고 해서 비가 오는 과학적 원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건 아니다. 비가 왜 오는지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그건 이성의 판단일 뿐 감성은 다를 수 있고 아이들은 그때그때 느낌을 표현하며 상상을 펼쳐 나간다.

아이들은 과학적인 설명이 필요할 땐 과학적으로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감정에 충실해 문학적인 상상력과 심리적인 풍족함까지 함께 얻는 것이다.

아이가 맘껏 상상하며, 상상한 걸 맘껏 표현할 수 있도록 지켜봐 주자. 괜히 먼저 아이에게 완벽한 환경을 만들어 주려고 하지 말자. 상상력이란 너무 완벽하게 갖춰져 있을 땐 나올 틈을 찾지 못한다. 이런 점에서 아이의 질문에 뭐든지 완벽하게 대답을 해 줘야 한다는 강박도 버렸으면 좋겠다. 설명이 좀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아이들은 상상하며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할 테니까 말이다.

오진원 웹진 ‘오른발왼발’ 운영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