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국회의원들 어떻게 사나]금배지 뗀 생활 ‘극과 극’

  • 입력 2006년 5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1.5평 컨테이너에서…  서울 성북구 삼선동의 1.5평 남짓한 컨테이너에 사는 박영록 전 의원이 빛바랜 앨범을 꺼내 신민당 시절 대변인으로 활동했던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홍진환 기자
1.5평 컨테이너에서… 서울 성북구 삼선동의 1.5평 남짓한 컨테이너에 사는 박영록 전 의원이 빛바랜 앨범을 꺼내 신민당 시절 대변인으로 활동했던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홍진환 기자
▼한 4선 출신의 힘겨운 2006년▼

땅거미가 깔리던 봄날 저녁, 1.5평 남짓한 컨테이너 문을 열고 들어서자 겨울의 한기가 느껴졌다. 서울 성북구 삼선동 삼선초등학교 뒤편 골목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 보온 시설은 전기장판 하나가 전부였다.

화장실도 없다. 컨테이너에 사는 노부부는 이웃 독거노인 집의 화장실을 이용한다. 부엌은 컨테이너와 입구 계단 사이. 물은 이웃집에서 길어다 쓴다.

컨테이너에 사는 노인은 6, 7, 9, 10대 국회의원과 신민당 부총재, 평민당 부총재, 통합민주당 최고위원까지 지낸 박영록(朴永祿) 전 의원이다.

박 전 의원은 퇴임 이후에는 민족사회단체총연합회를 만들어 활동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무실 임차료조차 못 낼 형편이었고, 지원을 약속했던 사회단체도 하나 둘씩 발을 뺐다.

결국 밀린 임차료를 갚지 못한 박 전 의원은 2003년 3월 40년간 살았던 삼선동의 35평 자택을 공매처분 당했다. 남은 200만 원으로 컨테이너를 장만했다.

“야당에서도 정권과 적절히 타협하고 자기 주머니를 챙기는 사람이 많았지만 나는 그런 사람들이 못마땅했어요. 그런데 어느 날 돌아보니 그런 사람들이 집권도 하고 세상은 저만치 변해 있는데 나는 그 자리더군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04년 9월, 사업에 실패한 차남이 “부모님을 제대로 모시지도 못하고 고생만 시켜 드려 죄송하다”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980년대 초 당시 박 의원과 함께 신군부에 끌려갔던 장남은 강원 원주시에서 사업을 하다가 빚만 졌다.

박 전 의원의 빈한(貧寒)은 다소 심한 경우에 속하겠지만, 그 못지않게 어려운 삶을 살아가는 전직 의원이 적지 않다. 바람직한 전직 의원의 상(像)과 문화는 어떤 걸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보와 동의대 선거정치연구소(소장 전용주·全勇柱 교수)가 공동기획으로 3, 4월 2개월에 걸쳐 전직 의원들의 경제·사회적 생활 실태를 조사했다.

800∼900명으로 추산되는 생존 전직 의원 가운데 해외 체류나 주소 불명, 응답 거부 등을 제외한 317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조사는 전화로 하거나 직접 만나서 했다.

국내 학계와 언론을 통틀어 전직 의원들의 생활 전반을 실사(實査)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 결과 전직 의원들의 생활상에는 중간이 옅고 상하의 치우침이 극심한 모습을 보였다.

소득의 경우 월수입이 300만 원 이하인 전직 의원이 64.4%(204명)였다. 이들의 평균 월수입은 101만 원. 이 액수는 만 65세가 넘으면 월 100만 원씩 받을 수 있는 전직 의원 연금까지 포함한 것이므로 상당수는 사실상 연금 외에는 소득이 없는 셈이다.

연금 수급 대상이 안 돼 월수입이 100만 원 이하인 사람만도 32.2%(102명)나 됐다. 연락이 닿지 않거나 응답을 거부한 사람까지 포함하면 평균 월수입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월수입이 300만 원 이상인 사람은 34.7%(110명). 이들의 한 달 평균 월수입은 497만 원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전체의 평균 월수입은 225만 원이었고, 0.9%(3명)는 월수입 공개를 거부했다.

재산은 5억 원 미만이 53.0%(168명)였다. 이들의 평균 재산은 1억9000만 원.

5억 원 이상의 재산 보유자는 40.2%(138명). 이들의 평균 재산은 11억8000만 원으로 파악됐다. 조사 대상 전체의 평균 재산은 6억1000만 원이었다.

전직 의원 10명 중 6명(60.3%)은 과거 국회의원 경력이 개인의 사회·경제적 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전직 의원들의 경우도 ‘전관예우’가 있으나 현역 때 여당 또는 야당이었는지, 어느 상임위에 있었는지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당 출신이 야당 출신보다, 상임위 중에서는 건설교통위 출신이 상대적으로 전관예우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전직 의원들의 66.6%는 현재 국회의 역할이 전반적으로 자신의 재임 때보다 못하다고 평가했다.

연세대 모종린(牟鍾璘) 교수는 “젊어서부터 정치에 ‘올인(다걸기)’한 사람들은 전문성 부족으로 퇴임 후 생활 정도가 낮고 의정활동 경험도 효과적으로 살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은 뒤 국가에 대한 마지막 봉사 차원에서 국회의원이 되는 풍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성원 기자 sw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