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여론광장/생명과학의 바탕은 인간윤리

  • 입력 2003년 10월 14일 17시 17분


코멘트
‘21세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는 말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생명과학은 1970년대 개발된 DNA(유전자)의 재조합 기술을 통해 동식물과 미생물 등을 개량했다. 자연에서 생산되지 않거나 필요보다 적게 존재하던 유용물질을 대량 얻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생명과학이 인류에게 희망만 가져다준 것은 아니다. 논란 중인 유전자 조작 농작물의 인체 유해성, 인공적으로 도입된 바이러스에 의한 생태계 혼란, 인간복제 및 체세포 배아복제의 윤리성 등 사회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생명윤리법이 최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제출됐다. 생명과학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몇 년 전부터 인간복제금지법이 시행되고 있다. 유엔은 복제금지국제협약결의안을 채택했다. 생명과학 연구자 스스로가 윤리적,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영국의 생물학자인 매완 호 교수는 ‘사전예방원칙’을 통해 새로운 과학윤리를 강조했다. 자신의 연구결과가 가져올 파장을 예상하고 윤리적 기준에 따라 연구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이다. 대학에서 생명과학을 배우는 학생에게 생명공학윤리학, 과학자윤리학 등의 강의를 필수로 듣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관련 연구소나 기업체도 재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생명윤리의식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천의 가톨릭대 인간학연구소는 최근 ‘생명과학기술과 인간의 정체성’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법학 사회학 철학 생명과학 등을 연구하는 교수들이 모여 생명과학기술과 인권, 연구자의 윤리, 인간의 정체성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런 모임을 통해 과학·기술·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생명과학이 나아갈 올바른 방향이 모색된다면 식량, 건강, 환경문제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김형권 가톨릭대 생명공학부 교수 hkkim@catholic.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