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료인상案 시민 반발]『비리 캔다더니 업자 편들어』

  • 입력 1997년 3월 25일 19시 59분


서울시가 25일 버스요금 인상안을 마련함으로써 지난해 버스비리사건 이후 『현행 요금인상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요금의 인하도 검토하겠다』는 약속이 물거품이 됐다. 특히 버스비리사건이 터진 직후 서울시가 요금검증위원회를 구성, 조사를 실시한후 첫 결과가 요금인상으로 나타나 『근본적 대책마련 없이 시민들에게 부담을 전가하려 한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서울시는 요금인상에 대한 반발이 거세자 『실무차원에서의 검토안일 뿐』이라고 발뺌하면서도 『지난 4개월간의 실사결과 요금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시의 요금인상안에 대해 요금검증위원회에 참여해온 시민단체 대표들조차 『사전에 전혀 합의한 적이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또 요금실사가 2주라는 짧은 기간에 이뤄졌으며 당초 약속했던 공청회 한번 갖지 않은 채 요금인상을 추진하려 했다는 점에서 검증결과와 방법의 신뢰성마저 의심받고 있는 실정이다. 『적자업체에 대한 무조건 지원이 과연 옳은 것인가』 『업자들의 부실한 경영과 수입금 착복 등으로 인한 적자를 시민이 부담해야 하느냐』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서울시의회 梁敬淑(양경숙·국민회의)의원은 『노선 공개념화 시영버스도입 공동배차제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한 뒤 요금인상여부를 거론해야 하는데 순서가 뒤바뀌었다』고 말했다. 〈김희경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