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애널리스트의 마켓뷰

기사 242

구독 3

인기 기사

날짜선택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반도체 ‘제4 공정’에 주목하라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반도체 ‘제4 공정’에 주목하라

    반도체 공급 부족 이야기가 곳곳에서 들리고 있다. 반도체 업체들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고 관련 기대감이 장비주에 반영되고 있다. 혹자는 이미 반도체 장비주에 이러한 기대가 반영돼 더 이상 상승 여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포착할 수 있는 기회는 또 있다.…

    • 2021-03-16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주목해야 할 파월의 팩터 ‘재정정책’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주목해야 할 파월의 팩터 ‘재정정책’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이션에 관한 시각과 통화정책은 최근 제롬 파월 의장의 상·하원 의회 보고에서 다시 한번 확인됐다. 시장이 반길 만한 선물은 없었지만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해선 걱정하지 말라는 메시지가 충분히 전달된 것 같다. 특히 의미 있었던 내…

    • 2021-03-02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다가오는 반도체 빅사이클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다가오는 반도체 빅사이클

    2016∼2018년 경험한 메모리 반도체 사이클은 역사상 가장 강했다. 빅사이클 또는 슈퍼사이클이라는 표현이 붙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D램 사업부의 분기 최고 영업이익률이 각각 70%, 60%에 육박할 정도였다. 공급 부족에 의한 반도체 가격 급등 때문이었다. 당시 상승 사이…

    • 2021-02-23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車산업 100년 만의 새물결 ‘메카’가 온다

    [애널리스트의 마켓뷰]車산업 100년 만의 새물결 ‘메카’가 온다

    2021년 연초부터 애플이 현대차·기아와 협업해 자동차 산업에 진출한다는 소식으로 업계가 시끄러웠다. 하지만 현대차·기아가 이달 8일 관련 협의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발표하자 시장은 당황했다. 협력사에 가혹할 정도로 비밀 유지를 요구하는 애플 특유의 신비주의가 발목을 잡았다는 …

    • 2021-02-16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주목받는 K콘텐츠… 제작사들 큰 기회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주목받는 K콘텐츠… 제작사들 큰 기회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스트리밍 콘텐츠 소비가 급증했고, 자연스럽게 글로벌 OTT(Over-the-Top·온라인동영상서비스)의 구독자와 매출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선두 사업자 넷플릭스…

    • 2021-02-09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美부양책에 고배당… 주식, 아직 매력적

    [애널리스트의 마켓뷰]美부양책에 고배당… 주식, 아직 매력적

    최근 주식시장은 높은 변동을 보이고 있다. 코스피가 일주일 만에 수백 포인트씩 급등락하고 개인투자자들은 사상 최대 순매수 기록을 갈아 치우고 있다. 연초 같은 속도의 상승이 지속되기 어렵다면 잠시 쉬어가는 흐름을 보이는 주식시장이 어떤 면에서 다행스럽다. 최근 상승장엔 몇 가지 리스크…

    • 2021-02-02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증권주 ROE-PER, 아직 저평가 구간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증권주 ROE-PER, 아직 저평가 구간

    통상 국내 증권사의 4분기(10∼12월) 실적은 각종 비용 반영으로 다른 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이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는 다를 것으로 보인다. 동학개미운동의 수혜를 입은 브로커리지(위탁매매) 활황 덕분이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채권운용수익 등이 부진해 실적 규모가 작을…

    • 2021-01-26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2021년의 주목할 숫자들

    [애널리스트의 마켓뷰]2021년의 주목할 숫자들

    숫자(Numbers)는 확실하나 결심이 쉽게 서지 않고, 스토리(Narrative)는 자극적이지만 정도를 제대로 알 수 없다. 데이터에 개연성이 충분한 이야기가 더해진다면, 우리는 확실과 확신으로 시장에 맞설 수 있다. ① 187조 원: 올해 코스피 상장기업의 영업이익 전망치이다. 반…

    • 2021-01-19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삼성전자 주가가 새롭게 보이는 이유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삼성전자 주가가 새롭게 보이는 이유

    최근 ‘서드포인트’라는 미국 행동주의 헤지펀드가 글로벌 반도체기업 ‘인텔’에 반도체 생산을 중단하라는 서한을 보내 화제가 됐다. 인텔은 PC 시대에선 압도적 강자였지만 최근 몇 년간 모바일, 인공지능(AI) 전환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AMD와 엔비디아에 점유율을 많이 빼앗겼다. 최근…

    • 2021-01-12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시장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시장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2020년 시장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충격으로 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코로나19 초기에는 팬데믹(대확산) 공포를 반영한 안전자산 선호와 기준금리 인하로 하락했지만 하반기에는 국채 물량에 대한 부담이 금리 반등을 이끌었다. 특히 한국뿐 아니라 많은 국가가 …

    • 2020-12-22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내년 구조적 성장세 기대되는 ‘헬스케어’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내년 구조적 성장세 기대되는 ‘헬스케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내 헬스케어 업종이 구조적 성장세에 진입했다. 내년 헬스케어 업종에서 실적 성장을 견인할 구조적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국내 진단회사들은 코로나19에 대한 발 빠른 대응으로 수출에서 성과를 내고 해외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 2020-12-15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코로나가 깨운 일본 ‘온라인 생태계’

    [애널리스트의 마켓뷰]코로나가 깨운 일본 ‘온라인 생태계’

    내년 인터넷 산업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국가는 일본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처럼 일본은 오랜 기간 ‘아날로그적 생활 방식’이 유지되는 특이한 국가였다. 이로 인해 인터넷 산업의 성장은 굉장히 느린 편이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이런 일본인들의 생활 …

    • 2020-12-08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글로벌 펀드매니저가 가장 선호하는 자산은

    [애널리스트의 마켓뷰]글로벌 펀드매니저가 가장 선호하는 자산은

    글로벌 자산시장에 해답지는 없지만 유용한 참고서는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서 매달 제공하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서베이가 그렇다. 세계 금융시장을 쥐락펴락하는 펀드매니저들을 대상으로 낙관론, 자산 배분, 현금 보유 비중 등을 조사해 발표하는 자료다. 지난달 조사에서 나타난 뚜…

    • 2020-12-01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무형경제 시대, 투자 관점도 달라져야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무형경제 시대, 투자 관점도 달라져야

    주식투자 환경을 예측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진다. 기술이 발전하고 환경, 인구구조, 국제정세는 끝없이 바뀌고 글로벌 정세는 요동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시대에 기존의 주식에 대한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은 참고 사항일 뿐이다. 테슬라를 보자. 블룸버그에 따르면 JP모건이 테슬라의 12개월 …

    • 2020-11-24
    • 좋아요
    • 코멘트
  •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내년 대세 상승장 기대되는 까닭

    [애널리스트의 마켓뷰]내년 대세 상승장 기대되는 까닭

    강세장과 대세 상승장은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그 사이엔 네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시장 주도주의 유무 △기업 실적의 추세적 개선 여부 △완화적 통화정책과 적극적 재정투자의 쌍두마차가 이끄는 글로벌 정책 환경 △외국인과 국내 자금 간의 수급 선순환 구도가 이에 해당한다. 이 네 가지…

    • 2020-11-10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