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청사 앞 홍범도 흉상도 이전 검토… 결정은 안 돼”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28일 13시 15분


코멘트
지난 2018년 제99주년 ‘3·1절’을 맞아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독립전쟁 영웅’ 흉상 제막식. (육군사관학교 제공) 2018.3.1/뉴스1
지난 2018년 제99주년 ‘3·1절’을 맞아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독립전쟁 영웅’ 흉상 제막식. (육군사관학교 제공) 2018.3.1/뉴스1
군 당국이 육군사관학교 교내뿐 아니라 현재 서울 용산구 국방부·합동참모본부 청사 앞에 설치돼 있는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의 흉상도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8일 정례브리핑에서 ‘국방부 앞의 홍 장군 흉상 이전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국방부가 현재 검토하고 있으나 결정된 바는 없다”고 답했다.

전 대변인은 “조국 광복을 위해 독립운동에 기여한 애국지사들의 공로까지 부정하는 건 절대 아니다”면서도 “홍 장군에 대해선 (옛 소련) 공산당 입당 또는 그와 관련한 활동이 지적되고 있다”고 흉상 이전을 검토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전 대변인은 ‘홍 장군 흉상을 뺀 자리에 백선엽 장군 흉상을 세울 것이냐’는 질문엔 “그런 건 검토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육사는 현재 교내 생도 교육시설인 충무관 앞에 설치돼 홍범도·김좌진·지청천·이범석 장군과 이회영 선생 등 일제강점기 시기 무장독립운동을 폈던 독립운동가 5명의 흉상을 충남 아산 독립기념관 등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해 전 대변인은 “육사가 작년부터 자체적으로 기념물 재정비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어디로 누구(흉상)을 옮길지 세부 방안이 아직 결정되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전 대변인은 “육사의 흉상을 다른 곳으로 이전한다고 해도 독립군과 광복군의 역사를 국군의 뿌리에서 배제하는 건 결코 아니다”고 강조했다.

전 대변인은 ‘과거 친일 행적 논란이 있고 공산주의 활동에 가담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 관련 기념물도 많이 있다’는 지적엔 “(박 전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수호하고 국가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며 “홍 장군(활동)의 역사적 가치는 다른 차원이어서 바로 비교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전 대변인은 ‘해군 잠수함 홍범도함의 명칭도 바꿀 계획이냐’는 질문엔 “결정된 바 없다”면서도 “필요하다면 (변경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장도영 해군 서울공보팀장은 “현재 해군은 홍범도함 함명 제정 변경 등에 대해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