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본 오염수 방류계획 문제 없다…우리 측 정기적 현장 방문”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22일 15시 05분


코멘트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오염수 방류 시기 등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3.8.21/뉴스1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오염수 방류 시기 등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3.8.21/뉴스1
정부는 24일로 예정된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 방류 와 관련해 “계획상의 과학적·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실상 일본 측의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한 허용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우리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방류가 조금이라도 계획과 다르게 진행된다면 즉각 방류 중단을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일일 브리핑을 통해 “일본 각료회의에서의 방류 개시 결정 관련 사안에 대해 사전에 전달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총리실은 “지난 18일 일본 측으로부터 ‘각료회의에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상정하기 앞서 한국에 알려주겠다’는 통지를 받은 데 이어, 22일 각료회의에 해당 안건이 올라갈 계획이라는 연락을 어제(21일) 받았다”고 전한 바 있다.

박 차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2일 한일정상회담에서 요구한 3가지 사안 중 ‘우리 측 전문가 파견’에 대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제안에 따라 정기적으로 우리 측이 후쿠시마 원전 현장 사무소를 방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한 “IAEA가 오염수 방류 관련 최신 정보를 정기적으로 우리 정부에 공유하고 화상회의도 정기적으로 개최해 각종 정보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듣고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기로 했다”며 “긴급 또는 이상 상황 발생 시에도 IAEA로부터 관련 정보를 가능한 빠르게 공유받을 수 있는 연락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우리 측에 필요한 오염수 방류 감시 기제를 확보하고 일본 측과의 정보 공유 및 핫라인 구축 등의 모니터링 체계를 완성하게 됐다는 게 박 차장의 설명이다.

박 차장은 ‘일본 측에 방사능물질 농도 기준치 초과 등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즉각 방류를 중단하라’는 요청에 대해 “이상 상황 발생 시 양국 규제당국 간, 외교 당국 간에 신속히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이중의 핫라인 구축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제공’과 관련해선 “일본 측은 IAEA와 협력 하에 관련 데이터를 1시간 단위로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한국어로도 해당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했다.

아울러 박 차장은 우리 측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네 가지 권고 사항 중 △선원항 변경 시 방사선영향평가 재실행 △실제 핵종 배출량 기반의 주민 피폭선량 평가에 대해 “IAEA 검토 하에 적절한 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ALPS 필터(크로스 플로우 필터) 점검 주기 단축 △연 1회 ALPS 입출구 농도 측정 시 5개 핵종 추가에 대해선 “일본 측이 증설 ALPS 설비 개선 결과를 토대로 크로스 플로우 필터 점검 주기의 적절성을 논의하고 양측이 기술적 협의를 지속해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박 차장은 “우리 정부는 오염수 방류가 우리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이중, 삼중의 확인과 점검 절차를 마련해두고 실제로 방류가 이뤄졌을 때 이러한 절차들이 빈틈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긴장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방류 개시 이후에 정부가 알게 되는 정보는 브리핑 등을 통해 국민께 투명하게 전달하고 일본 측에 개선을 요구할 사항이 있다면 신속하게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