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 중증치매’…‘정권심판’ 여론 등에 업고 목소리 키운 오세훈

  • 뉴스1
  • 입력 2021년 3월 27일 08시 11분


코멘트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26일 오후 서울 용문시장 네거리에서 유세차량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1.3.26/뉴스1 © News1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26일 오후 서울 용문시장 네거리에서 유세차량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1.3.26/뉴스1 © News1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의 발언 수위가 연일 높아지고 있다. 과거 보수단체 집회에서 했던 자신의 발언에 대한 여권의 비판도 아랑곳하지 않은 채 “그런 말도 못하느냐”며 오히려 역공을 펼쳤다.

이는 보궐선거를 앞두고 ‘정권심판’ 여론이 높아지자 정부비판을 통해 지지층과 중도층을 동시에 공략하는 전략적 행보란 분석이 나온다.

오 후보는 24일부터 26일까지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독재자’ ‘중증치매 환자’ 등 문 대통령과 여권을 향한 발언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 발언은 지난 2019년 보수단체 집회에서 한 자신의 발언으로, 이에 대한 여권의 공세에 정면으로 맞선 모양새다.

24일 기자간담회에서는 ‘독재자’ 발언과 관련해 “반(反)통합, 분열의 정치를 하고 있다. 그게 독재자 아닌가”라고 문 대통령을 원색 비난했다. 동시에 “독재자 면모를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답습할 가능성이 높다. 실정과 무능의 대명사 문재인의 아바타아닌가”라고 박 후보까지 싸잡아 겨냥했다.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25일에는 “여당이 잘못하면 야당이 비판하고 이를 듣고 보충하고 수정하는 게 민주주의”라며 “야당, 전문가 말을 안 듣는 게 ‘독재’ 아닌가”라며 ‘독재자’ 발언을 이어갔다.

26일에는 문 대통령을 ‘중증 치매환자’라고 한 자신의 과거 발언을 두고 “국민들은 집값 올라간다고 난리인데 본인(문 대통령)은 집값 안정돼 있다고 (하니까), 그 점을 지적했더니 (여당이) 과한 표현을 썼다고 한다”며 “야당이 그런 말도 못하는 가”라고 오히려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행보는 최근 ‘정권심판’ 여론이 높아진 데 따른 전략적 행보로 보인다. 오 후보 발언은 지난 2019년 보수단체가 주도한 광화문집회에서 오 후보가 직접했다. 당시에는 큰 호응을 받지 못했는데, 실제 다음해 치러진 4.15총선에서 ‘정권심판’을 내세운 야권은 참패했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과 LH 땅 투기 의혹 등이 제기되면서 정부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자,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여론조사기관이 지난 22~24일 전국 성인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전국지표조사(NBS)를 진행한 결과, ‘정권심판론’은 52%로 절반을 넘었다. 반면 ‘국정안정론’은 34%에 그쳤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포인트(p)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

2월4주차까지 정권심판론(40%)보다 3%포인트(p) 우위를 점했지만, 3월 초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로 국민 불만이 극에 달하면서 격차가 18%p까지 벌어졌다.

또 차기 대선을 염두한 발언이란 분석도 있다. 이번 보선이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갖진 만큼 정권심판 여론을 지금부터 시작해 차기 대선까지 이어가기 위한 행보란 설명이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며 승기를 잡은 것으로 평가받는 가운데 선거초반 기선제압을 위한 행보란 분석도 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정권이 임기말로 향하고 있다. 정부에 대한 여론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정권심판 이슈가 여론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평론가는 “지난 총선까지 정부심판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지금은 다르다”며 “야권은 이번 선거를 시작으로 내년 대선까지 정부심판 목소리를 이어가며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