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 준비했던 靑비서관 “조국, ‘사모펀드’ 전혀 몰라”

  • 뉴시스
  • 입력 2020년 8월 27일 18시 22분


코멘트

김미경 靑비서관, 정경심 재판 증인석
조국, 장관 후보자 시절에 신상팀 총괄
"조국 설명 신뢰하고 해명자료 작성해"
지난 6월 불출석 과태료 후 증인 출석
정경심 다음 재판 내달 3일…조국 증인

김미경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이 조국 전 법무부장관이 후보자이던 지난해 8월 불거진 사모펀드 의혹에 대해 당시 전혀 모르는 것 같은 반응이었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2부(부장판사 임정엽·권성수·김선희)는 이날 업무방해 등 혐의로 기소된 정 교수의 속행 공판을 진행했다. 이날 오후에는 김 비서관에 대한 증인신문이 진행됐다.

김 비서관은 지난 2017년부터 조 전 장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재직할 당시 법무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했다.

조 전 장관이 법무부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에는 인사청문회 준비단에 합류해 후보자에게 예상되는 신상 문제에 대응하는 팀의 총괄 역할을 맡았다. 이후 김 비서관은 지난 1월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으로 내정됐다.

이날 검찰이 ‘조 전 장관의 사모펀드 의혹은 누가 담당했나’고 묻자 김 비서관은 “저는 가족 관련 신상을 맡았고, 사모펀드는 당시 인사청문회 주요 주제라고 생각 안 해서 업무분담 안 하다가 의혹 제기 한참 후 제가 했다”라고 설명했다.

당시 청문회 준비단은 ‘정관에 의해 출자요청기한이 경과해 후보자 가족은 추가 출자의무가 없다’는 취지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에 검찰이 ‘직접 정관을 확인했나’고 물었고, 김 비서관은 “해명 대비하며 자료 요청했는데 정관을 아직 받지 못해 구두 설명을 듣고 작성한 것으로 기억한다”며 “설명이 진실된 것이라 생각해 신뢰하고 작성했다”라고 말했다.

검찰이 ‘조 전 장관은 기존 펀드 운용보고서 관련 전혀 모르는 것처럼 반응했나’고 묻자 김 비서관은 “저는 그렇게 느꼈다. 제가 모르는 것처럼 후보자도 똑같이 모른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정 교수 측 변호인이 ‘왜 놀랐나’고 하자 김 비서관은 “당시 후보자가 논문 표절로 비판을 받고 많은 이슈가 있어 그 부분을 하나로 잡았다”며 당시 주식 등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해 사모펀드 인력은 구성하지도 않았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당시 청문회 준비단 사모펀드 담당 검사는 지난해 8월21일 이상훈 전 코링크PE 대표와 통화에서 블루펀드 나머지 투자자가 정 교수 동생 정모씨라는 얘기를 들었고, 김 비서관은 이를 조 전 장관에게 보고했다.

조 전 장관 반응을 묻는 말에 김 비서관은 “저랑 똑같이 당황한 것으로 느꼈다”면서 “그래서 사모님에게 물어봤고, ‘동생이 있는 거 말하면 안 된다 해서 솔직하게 말 안 했다. 미안하다’고 후보에게도, 제게도 말했던 걸로 기억한다”고 설명했다.

검찰이 ‘정씨가 블루펀드 다른 투자자로 밝혀지면 언론 해명과 다르고 신뢰하기 어려운 상황인가’라고 묻자 김 비서관은 “그렇다”고 말했다.

김 비서관은 조 전 장관 딸 조모씨의 동양대 표창장 사진 파일과 관련해 “저 또는 정모 검사가 배우자(정경심)로부터 받았지 않나 싶다”며 “당시는 시급한 상황이어서 원본이 당장 필요하다고 생각 안 하고 받았다”고 언급했다.

검찰이 ‘원본 여부를 안 물었나’고 질문하자 김 비서관은 “당연히 원본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면서 “정확히 기억은 안 나는데 표창장 관련해서 보좌진들 텔레그램 방에 보낸 기억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김 비서관은 지난 6월18일 정 교수 재판에 증인으로 소환됐지만, ‘관계부처 회의가 있어 참석이 어렵다’며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고 법정에 나오지 않았다.

이에 재판부는 “불출석 사유서에 구체적인 이유가 없고, 소명자료가 소명 안 됐다”면서 과태료 500만원 처분을 부과했고, 김 비서관은 과태료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서를 제출했다. 이후 재판부는 이날 김 비서관을 다시 증인으로 소환했다.

과태료 처분과 관련해 김 비서관은 “당시 통일부 장관이 사의해서 하루종일 급한 현안 회의가 있어 도저히 갈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뒤늦게 재판부 문자를 확인했다. 당시 환경과 여건이 안 됐다”고 소명했다.

또 재판부가 소회를 말할 기회를 주자 김 비서관은 “후보자도 저도 정관이나 보고서를 저희가 만든 게 아닌데 위조라는 건 상상할 수 없다”며 “당시 여러 의혹이 많아 답을 보완하는 과정이지 거짓 답변한 적 없다”고 토로했다.

정 교수의 다음 공판은 내달 3일 오전 10시에 진행된다. 이날 조 전 장관에 대한 증인신문이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