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가 △△후보 사돈의 팔촌’ 황당 루머에도 테마주 급부상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9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본보, 정치인 테마주 131개 속성 - 매매패턴 분석

최수현(가명) 씨는 이달 초 미래산업 최대주주인 정문술 전 사장이 안철수 대선후보와 친하다는 소문을 들었다. 그는 10일 주당 1400원에 미래산업 주식 7만 주를 샀다. 13일 주가가 2075원(종가 기준)까지 치솟을 땐 하늘을 나는 듯했다. 다음 날 상황은 돌변했다. 정 전 사장이 14일 보유 주식을 모두 처분하자 주가는 추락했다. 이어 연일 하한가를 보였다.

최 씨는 조금이나마 손실을 줄이려고 20일 주당 1005원에 7만 주를 모두 팔았다. 열흘 새 날린 돈은 약 3000만 원. 20일 주식시장에서는 미래산업의 주가 폭락으로 손해를 본 사례가 속출하면서 “개미 지옥”이라는 비명이 터져 나왔다.

올 들어 증시에서 단기 수익을 노리고 정치 테마주에 돈을 건 개인투자자가 크게 늘었다. 대통령선거가 3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금, 테마주 투자자들 상당수는 돈을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엉터리 정보로 주가를 띄워 이익을 챙기는 ‘먹튀 세력’도 문제지만, 테마주가 허황될 걸 알면서도 단타 투자에 나선 개인들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테마주 투자, 결국 손해

직장인 전모 씨는 안철수 후보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기 하루 전인 18일 솔고바이오 주식 300만 원어치를 주당 2250원에 사들였다. 안 후보의 출마 선언으로 주가가 오르자 바로 주식을 팔아치워 이틀 새 18% 수익을 거뒀다.

김우준 하나대투증권 부장은 “전 씨처럼 소액으로 재미를 본 사람이 더 위험하다”며 “작은 수익에 혹해 테마주 투자의 수렁에 빠져 큰돈을 날릴 수 있다”고 말했다.

테마주에 손댄 개인투자자들은 대부분 테마 자체가 황당하다는 걸 알고 있다. 그럼에도 테마주의 유혹에 빠지는 것은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는 빨리 움직인다’는 자만심과 착각 때문이다. 김 부장은 “테마주 투자 심리의 배경에는 테마주를 빨리 쫓아가면 조금이나마 이익을 얻고 나올 수 있다는 자기중심적 생각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런 심리를 이용하는 게 일부 시세조종 세력들이다. 이들은 루머를 퍼뜨려 주가를 띄워놓고 개미들을 유혹하기도 한다. 개미들이 뒤따라 매수해 주가를 더 올려놓으면 ‘먹튀(주가가 상승하면 대량 매도)’에 나서는 것이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처럼 소문을 퍼뜨릴 매체가 다양해진 것도 테마주가 늘어난 요인으로 꼽힌다. 소문의 전파 속도까지 빨라지면서 작전세력들이 주식을 사들일 때부터 팔아 이익을 챙길 때까지 걸리는 시간도 짧아졌다.

황의천 한국거래소 시장감시부장은 “‘물량 매집→시세 견인→이익 실현’의 작전 과정이 예전에 6개월 정도 걸렸다면 요즘은 일주일 이내”라고 말했다.

이런 배경 때문에 테마주 투자로 이익을 얻는 개인은 거의 없다. 특히 최대주주가 예고 없이 보유 주식을 대거 쏟아내면 손실이 커진다. 주가는 즉시 하한가를 나타내고 개인은 손쓸 틈도 없기 때문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의 복지 테마주인 아가방컴퍼니의 김욱 대표이사 회장은 2월 17일부터 21일까지 62만6210주를 매도했다. 이 때문에 주가는 17일 1만5750원에서 3월 12일 1만1200원으로 28.8% 하락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의 테마주로 분류되는 우리들생명과학도 주가가 4380원까지 치솟았던 2월 20일부터 이승열 대표이사 및 친인척이 200여만 주를 팔아치우자 3월 12일 2055원까지 폭락했다.

○ 거미줄처럼 엮인 황당한 인맥 테마주

올해 증시에서는 유난히 ‘인맥’을 내세운 정치인 테마주가 많다. 131개 테마주 가운데 인맥 테마주가 69개로 복지, 일자리 등 정책 테마주(49개)보다 40.8% 많았다. 지난 대선 때 4대 강 테마주 등 정책 중심의 테마주가 형성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인맥 테마주가 형성된 이유는 이번 대선에서 유력한 후보군이 결정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유력 대선후보 그룹과 대선 정책 공약들이 불투명하자 가장 손쉽게 인맥을 테마로 삼게 됐다는 것이다.

인맥 테마주는 기업 실적과 무관한 데다 억지로 만든 경우가 대다수였다. 안철수 테마주인 우성사료는 ‘신경민 민주통합당 의원이 안철수 후보와 친분이 있는데, 우성사료의 최대주주가 신경민 의원의 처가’라는 이유로 테마주가 됐다. KT뮤직은 ‘안철수 후보와 친분이 있는 박경철 안동신세계연합병원장이 사외이사로 등재돼 있다’는 이유로 엮였다.

‘박근혜 테마주’는 혈연관계를 내세운 사례가 많았다. EG는 박 후보의 동생 박지만 씨가 최대주주라는 이유로, 대유신소재는 박영우 회장이 박근혜 후보의 조카사위라는 점에서 테마주가 됐다. 문재인 테마주에는 과거 문 후보 소속 법무법인에 일감을 줬던 바른손, 피에스엠씨 등이 포함됐다.

○ 감시로는 한계, 투자 문화 성숙돼야

하은수 금융감독원 자본시장조사1국 팀장은 “선진국 증시에 테마주가 활개 친다는 얘기를 들어보지 못했다”며 “투자 문화가 성숙돼 있지 않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어디서나 온라인 주식거래를 할 수 있는 홈트레이딩시스템(HTS)도 단타 매매가 기승을 부리는 요인이다.

주가 조작 세력에 대한 금융당국의 조사 권한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하은수 팀장은 “금감원이 정치인 테마주 전담팀을 만들었지만 인터넷주소(IP) 추적권, 통화기록 조회권 등이 없어 조사에 한계가 있다”며 “한시적이더라도 이런 권한이 있어야 조작 세력을 잡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종우 아이엠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단속이나 감시로는 한계가 있다”며 “투자자 교육, 펀드 시장의 선진화, 금융투자회사의 전문성 확보 등으로 투자 문화가 성숙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지 기자 nuk@donga.com  
김철중 기자 tnf@donga.com  
[채널A 영상] 정치인 테마주 절반, 실적은 급락해도 주가는 급등


#테마주#급부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