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복원]차량 응급보수체계 구축 서둘러야

  • 입력 2000년 9월 18일 18시 56분


18일 경기 파주 임진각에서 역사적인 기공식과 함께 경의선 복구 사업이 본격 착수됐다. 내년 추석 때쯤이면 경의선을 타고 북한 땅을 여행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또 중국, 러시아, 유럽을 잇는 ‘철(鐵)의 실크로드’가 열려 한반도가 동북아의 물류전진 기지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남은 과제는 재개통될 경의선이 이같은 기대치에 걸맞게 운영되는 것.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경의선 운영을 위한 과제들을 정리해본다.

▽시설 분야〓우선 남한 열차가 북한에서 고장이 났을 경우에 대비한 유지보수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경의선 열차는 남북 접경지역에서 동력차만 교체되고 객차나 화차는 그대로 북한으로 들어가게 된다. 문제는 남한의 객차나 화차가 겨울철 북한의 혹한지역을 운행하면서 윤활유 등이 얼어붙어 열차 제동이 제대로 안되는 등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크다는 것. 이 경우 어떻게 응급조치할 것인지가 과제다. 철도기술연구원 유원희(兪元熙)차량시스템연구팀장은 “남측의 정비사나 경정비 부품들을 북한에 어떻게 들여보낼지 등을 미리 정해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북한 철도망 정비에 투입될 재원 확보 방안도 문제. 경의선 전구간을 개량하고 복선화할 경우 5조∼8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같은 사업에 쓰일 ‘철도건설기금’ 등이 요구된다. 철도기술연구원 이용상(李容相)정책연구팀장은 “기금 설립을 위해 국제컨소시엄으로 관련회사를 설립해 공동으로 자본을 조달하고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운영 분야〓우선 남북, 한―중, 한―러시아간 화물이나 여객 이동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운영방식이 결정돼야 한다. 화물이 운송되거나 국경을 넘어서면서 통관심사를 받다가 파손 또는 손실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보상 책임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남북간에 화물교환이나 공동운행 시간표, 출입국 관리 등에 대한 통행협정이 체결돼야 한다. 중국이나 러시아를 거쳐 유럽에 들어가는 화물을 위해선 ‘다자간 협정’이나 ‘국제협력협정’ 등이 마련돼야 한다.

남북간 경의선 이용이 활발해지면 남측의 수도권 중심 철도망 운영체계에 적잖은 체증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비한 철도 운영 시스템도 준비해야 한다. 또 수도권 이북 지역에 경의선 이용 화물을 보관할 수 있는 물류거점을 확보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다.

장기적으로는 남북 철도의 통합 운영을 위한 종합 계획도 필요하다. 현재는 연결구간이 경의선에 불과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원선, 금강산선, 동해선 등의 미연계 구간을 연결해야 한다. 게다가 단선으로 복구되는 경의선도 물동량 등을 감안할 때 개통 후 10년 정도면 복선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개발연구원 안병민(安秉珉)동북아연구팀장은 “단선을 복선화하는 데만 최소 6년 정도 소요된다”며 “지금부터라도 남북이 합의해 이런 작업들을 포괄할 수 있는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재성기자>jsonh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