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이 어려운데 세금을 지원받겠다고 청년 고용을 늘리기는 어렵다. 그런데도 일자리정책은 여전히 세금 감면과 고용지원금 등 재정 지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3차 추경에서 편성한 ‘청년일경험지원사업’은 목표치인 5만 명의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빚을 내 마련한 돈으로 임시 일자리를 만들었는데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외면받은 것이다. 코로나19 영향이 컸지만 세금이 끊어지면 없어질 일자리라는 걸 청년들도 안다.
올해 일자리정책도 청년일경험지원사업을 포함해 공공일자리 110만 개가 핵심이다.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빚을 내서라도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마련해주는 건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하지만 기업 상황이 좋아져야 일자리정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채용 인원 중 청년의 비율이 높다는 점도 정부가 명심해야 한다.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각종 규제가 혹덩이처럼 불어나는 지금의 기업 환경에서 청년 실업 탈출구를 찾기는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김어준, 교통방송서 퇴출해라” 靑 청원, 사흘 만에 14만 명 돌파
吳 "서울형 상생방역…자가진단 키트 노래방 시범도입”
김근식 “대통령님, K방역 우려먹지 말고 K백신 말하십시오”
민심 경고에도 文 국정 마이웨이…지지율 최저 경신
노무현의 사람 냄새 사라진 문재인 청와대 [최영해의 폴리코노미]
[천광암 칼럼]20대의 문재인 정권 4년 경험치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