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이동영]적군묘지를 관리하는 이유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7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경기 파주시 적성면 답곡리에 ‘적군묘지’가 있다. 6·25전쟁 때 숨진 중국군과 북한군 유해 1063구가 매장된 곳이다. 묘비에는 계급과 이름 정도만 적혀 있다. 이곳에 묻혀 있던 중국군 유해가 정전 60주년이 되는 올해 고향 땅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 같다. 한국의 대통령이 나선 덕분이다.

▷일반인은 잘 알지도 못하는 적군묘지 내 중국군 유해 송환을 중국을 방문 중인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건 의미가 작지 않다. 이만 한 화해 제스처도 없기 때문이다. 한국은 비록 적군의 유해지만 정부 차원에서 직접 관리해 왔다. 관할 군부대에서 출입을 통제하고 한식이나 추석을 앞두고는 벌초까지 해주며 최소한의 예의를 지켰다. 고향을 바라보라는 뜻에서 이곳의 묘는 북쪽을 향해 만들었다.

▷북한에서 한국군 묘지를 관리한다는 소식은 들어보질 못했다. 국군포로나 납북자의 존재도 확인해주지 않는 사람들에게 죽은 군인의 인격과 망자에 대한 예의를 얘기해봐야 소용없는 일일 것 같긴 하다. 그들은 KAL 858기를 폭파하고 자살한 김승일과 1998년 남해안에 침투한 공작원 등 파주 적군묘지에 묻혀 있는 북한군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남한과 관련된 일이라면 자기 병사들이라 하더라도 소홀하게 대하는 북한이지만 중국 일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북한은 김일성 지시로 1973년 평안남도 회창군 등 8곳에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묘’를 조성한 이후 김정일과 김정은이 참배하는 등 정성껏 관리하고 있다.

▷적군에게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는 것은 인도주의의 발로이다. 국제 규범을 준수하고 자국의 인권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중국이 탈북자를 강제 송환하는데도 지난해 예산 5억 원을 들여 흰색 말뚝 대신 대리석 묘비를 만드는 등 적군묘지를 정비했던 이유다. 상대방이 성의를 보이지 않는데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느냐는 비판도 있다. 맞는 말이긴 하지만 우리가 중국이나 북한과 달리 인권국가임을 보여주려면 적군묘지도 관리하는 게 옳다. 참혹한 전쟁의 교훈도 보여주고, 중국 관광객도 찾아올 수 있도록 이번 유해 송환을 계기로 적군묘지의 위상을 높여 공개해 보는 것은 어떨까.

이동영 사회부 차장 argu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