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41년 전의 새마을운동, 지금 그 정신이 아쉽다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4월 22일 03시 00분


두 달 전 국회는 찬성 191명, 반대 5명, 기권 13명이라는 표결로 4월 22일을 ‘새마을의 날’로 정했다. 이에 따라 오늘 경기 성남시 새마을운동연수원에서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새마을의 날’ 첫 기념식이 열린다.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주민 스스로 의욕을 갖고 농촌 잘살기 운동을 시작해야겠다. 그 이름은 ‘새마을 가꾸기 운동’이라고 해도 좋겠다”고 제창한 지 41년 만이다.

새마을운동이 지역과 계층을 뛰어넘어 40년 넘게 생명력을 이어온 의미는 크다. 근면 자조 협동의 정신에 입각한 농촌 환경 개선 및 소득 증대 운동은 점차 도시와 기업에 확산돼 국민적 생활·의식 개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패배주의에 젖어 있던 국민에게 ‘우리도 잘살 수 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심어줘 경제 기적의 큰 동력이 됐다.

새마을운동은 여러 여론조사에서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함께 대한민국 건국 이후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성공작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의 적지 않은 개발도상국들이 새마을운동을 수입해 가고 있다. 한국을 찾아 이 운동의 경험을 배우고 간 외국인은 74개국 5만여 명에 이른다.

박정희 정부는 운동 첫해인 1970년 3만4000개 마을을 선정해 시멘트와 철근을 지원하고 환경 개선 등의 성과를 평가해 2차 연도 지원에 차이를 두었다. 장관들과 여당 의원들이 “똑같이 지원하지 않으면 시끄러워지고 정치적으로도 어려워진다”며 균등 배분을 건의했으나 박 대통령은 “정치적 부담은 나도 알지만 그런 식으로 하면 실패한다. 성과를 올린 마을 중심으로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좌승희 경기개발연구원 이사장은 저서 ‘신(新)국부론’에서 “혜택이 끊긴 마을에서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해 1만8000개 ‘유급마을’ 중 6000개가 3차 연도에 다시 지원대상에 포함됐다”고 소개했다. 결국 5년 만에 3만4000개 마을이 모두 합격선에 들었다. 자조의식 고취와 인센티브 부여로 자발적 동참을 이끌어낸 성공 전략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재창 새마을운동중앙회장은 “빈곤 퇴치를 위해 시작한 새마을운동은 21세기를 맞아 한국을 선진국으로 진입시키는 데 필요한 국민의식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남한이 김일성 치하의 북한보다 가난했다. 날씬해지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요즘 젊은이들은 많은 국민이 두 끼도 제대로 못 먹고 누런 얼굴로 보릿고개를 넘기던 시절이 있었음을 알지 못할 것이다.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 선진화를 지향하는 오늘에도 이 땅에서 빈곤을 물리친 새마을운동의 정신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