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130km 남하해 스스로 삼척항에 정박한 북 어선을 마치 표류하다 발견된 것처럼 왜곡 발표했다. ‘거짓 브리핑’ 논란이 확산되자 청와대는 20일 문재인 대통령이 “철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와대가 15일 이미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상황 보고를 받았고, 청와대 행정관이 두 차례 국방부 브리핑을 사복을 입은 채 지켜본 사실이 드러났다. 청와대가 북 어선 귀순 초기부터 구체적인 사실을 파악하고 국방부와 협의를 했으니 그 대응을 조율해 왔다는 의심을 떨칠 수 없는 대목이다.
청와대는 국가안보실은 군이 만든 발표문을 보고받거나 상황을 공유·협의 정도만 했다고 설명하지만 군 내부에선 남북관계에 영향을 끼칠 중대 사건의 발표 내용은 국가안보실이 적극 개입해 사실상 발표문을 수정·승인해 왔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북 어선이 귀순한 당일인 15일 군이 이를 발표하려 했으나 청와대가 만류했다는 주장도 군 내부에서 나온다.
안보는 정확한 상황 판단과 그에 따른 원칙적인 대응을 해야지 정무적인 판단이 개입할 이유가 없다. 5월 국방부는 북한의 도발을 두고 ‘미사일’이 아닌 ‘발사체’라고 하더니 아직까지 그 분석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남북관계 자체가 목적이 되다 보니 벌어지는 비정상적인 일들이다. 결코 어물쩍 넘어갈 일이 아니다. 철저히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물어 재발을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