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천체

    날짜선택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궁수자리 원시 별들의 모습 포착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궁수자리 원시 별들의 모습 포착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우리 은하(지구가 속해 있는 은하)’의 중심에 모여있는 원시 별 무리를 관측했다고 미국 CBS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제임스웹이 촬영한 사진에는 약 50만 개의 별이 담겨있다. 우리 은하의 중심에 위치한 ‘궁수자리 A’에서…

      • 2023-11-21
      • 좋아요
      • 코멘트
    • 수성서 발견된 소금빙하…생명체 존재할까?

      수성서 발견된 소금빙하…생명체 존재할까?

      수성의 극지방에서 소금 빙하로 추정되는 지역이 발견돼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8일(현지시간) 미국 행성과학연구소(PSI)의 알렉시스 로드리게스 박사 연구팀은 학술지 ‘행성과학저널(Planetary Science Journal)’에 게재한 논문…

      • 2023-11-20
      • 좋아요
      • 코멘트
    • 폭발로 끝난 ‘스타십’ 두번째 발사… “절반의 성공”

      폭발로 끝난 ‘스타십’ 두번째 발사… “절반의 성공”

      역사상 최대 규모의 우주발사체 ‘스타십’의 두 번째 시험 발사가 실패로 돌아갔다. 1단 분리에는 성공했지만, 2단이 비행 중 교신이 중단되며 자동 폭발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올해 4월 1차 발사에서 문제가 됐던 엔진 가동이나 1단 분리 등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 2023-11-20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스타십’ 두 번째 시험발사 “실패했지만 1단 분리 성공”

      ‘스타십’ 두 번째 시험발사 “실패했지만 1단 분리 성공”

      화성 이주 목적을 위해 개발 중인 세계 최대·최강 우주발사체 ‘스타십’의 두 번째 시험발사가 18일(현지시간) 실패로 끝났다. 다만 발사 직후 엔진 수 기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등 실패를 맛본 1차 비행에 비교하면 이번 2차 시도에선 1단 분리에 성공하는 등 일정 부분 성과도 거뒀다는…

      • 2023-11-19
      • 좋아요
      • 코멘트
    • 스페이스X ‘스타십’ 2차 시험 발사, 장비 교체로 하루 연기

      스페이스X ‘스타십’ 2차 시험 발사, 장비 교체로 하루 연기

      미국 동부 시간 11월17일 오전 8시(한국 시각 17일 오후 10시)로 예정됐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스타십(Starship)’ 2차 시험 발사가 하루 미뤄졌다고 미국 스페이스닷컴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X(옛 트위터)를 …

      • 2023-11-17
      • 좋아요
      • 코멘트
    • 2032년 한국형 달 착륙선 만든다… 관건은 ‘역추진’

      2032년 한국형 달 착륙선 만든다… 관건은 ‘역추진’

      ‘한국형 달 착륙선’ 개발 사업이 지난달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내년부터 약 10년간 5300억 원이 투입된다. 2031년 검증선을 발사하고, 2032년 실제 탐사를 위한 착륙선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성공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임무가 지구에서 우주 공간까지 탑재체를 …

      • 2023-11-17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제임스웹 망원경, 외계행성서 모래 구름 첫 확인

      제임스웹 망원경, 외계행성서 모래 구름 첫 확인

      지구에서 2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외계 행성의 구름이 처음 확인됐다. 구름은 수증기와 이산화황 등으로 이뤄져 있었다. 린 데신 벨기에 루뱅대 천문학연구소 교수팀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에 탑재된 중적외선 장비(MIRI)를 통해 얻은 데이터로 외계 행성 ‘WASP-107b’의…

      • 2023-11-17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빛의 속도로 330억년 달려야 도착”…우주 초기 은하 발견

      “빛의 속도로 330억년 달려야 도착”…우주 초기 은하 발견

      우주 초기에 형성된 은하가 약 330억광년(3122해㎞) 지점에서 발견됐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이 판도라 성단(Abell 2744) 지역에서 은하 ‘UNCOVER Z-13’, ‘UNCOVER Z-12’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천체 물리학 회…

      • 2023-11-14
      • 좋아요
      • 코멘트
    • 인류 첫 달 궤도 진입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보먼 별세

      인류 첫 달 궤도 진입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보먼 별세

      인류 최초로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한 ‘아폴로 8호’를 이끈 우주비행사 프랭크 보먼(사진)이 7일(현지 시간) 95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12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1968년 12월 21일에 발사된 아폴로 8호는 달 궤도를 10번 돈 뒤 같은 달 27일 지구로 귀환…

      • 2023-11-13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도란도란 수다 떨듯… 주민들과 우주 이야기하는 공간되길”

      “도란도란 수다 떨듯… 주민들과 우주 이야기하는 공간되길”

      “우주를 탐험하는데 왜 지하 1000m 아래로 들어가냐고 묻던 아이들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그 아이들에게 중성미자 실험시설인 ‘예미랩’은 결코 잊을 수 없는 ‘땅속의 우주’가 됐을 거예요.” 강원 정선군 소재 예미산 지하 1000m 아래 만들어진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

      • 2023-11-13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인류 최초 달 탐사’ 이끈 우주비행사 프랭크 보먼 별세

      ‘인류 최초 달 탐사’ 이끈 우주비행사 프랭크 보먼 별세

      인류 최초로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한 ‘아폴로 8호’를 이끈 우주비행사 프랭크 보먼이 7일(현지시간) 95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12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1968년 12월 21일에 발사된 아폴로 8호는 달 궤도를 10번 돈 뒤 27일 지구로 귀환했다. 미국 공군 장교였…

      • 2023-11-12
      • 좋아요
      • 코멘트
    • ‘인류 첫 달 탐사 아폴로8호 사령관’ 프랭크 보먼 별세…향년 95세

      ‘인류 첫 달 탐사 아폴로8호 사령관’ 프랭크 보먼 별세…향년 95세

      인류 최초로 달의 궤도에 진입해 달의 뒷면을 목격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아폴로 8호 달 탐사선 사령관 프랭크 보먼이 향년 9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고 미국 AP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나사에 따르면 보먼의 가족 대변인 짐 매카시는 보먼이 지난 7일 미국 몬태나주…

      • 2023-11-10
      • 좋아요
      • 코멘트
    • “활용처 무한한 ‘위성 데이터 산업’… 뉴 스페이스 시대 이끌 것”

      “활용처 무한한 ‘위성 데이터 산업’… 뉴 스페이스 시대 이끌 것”

      8일과 9일 이틀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열린 ‘2023 코리아스페이스포럼(KSF)’에는 20여 곳의 미국 및 한국 우주기업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무궁무진한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공조를 적극 모색하는 한편, 이 분야가 민간 중심의 우주개발을 의미하는 ‘뉴 스페이스’ 시…

      • 2023-11-10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한미 우주기업들 모였다…국내 기업들 “컨트롤타워 역할 우주항공청 절실”

      한미 우주기업들 모였다…국내 기업들 “컨트롤타워 역할 우주항공청 절실”

      국내 우주 스타트업 기업들이 모인 자리에서 우주항공청 설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방해하고 있는 규제 완화, 경쟁력 있는 우주 분야 기술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서는 컨트롤 타워의 빠른 설립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현재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

      • 2023-11-08
      • 좋아요
      • 코멘트
    • ‘태양 1억배’ 초대질량 블랙홀 찾았다…초기 우주 비밀 풀까

      ‘태양 1억배’ 초대질량 블랙홀 찾았다…초기 우주 비밀 풀까

      지금까지 X선을 활용해 발견된 블랙홀 가운데 가장 먼, 가장 오래된 블랙홀이 관측됐다. 태양 질량의 1억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블랙홀은 그간 베일에 싸여있던 ‘초대질량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의 탄생 원리를 보여주는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8…

      • 2023-11-08
      • 좋아요
      • 코멘트
    • “암흑우주 향한 창”…‘유클리드’ 망원경, 첫 번째 사진 공개 예정

      “암흑우주 향한 창”…‘유클리드’ 망원경, 첫 번째 사진 공개 예정

      유럽우주국(ESA)이 발사한 우주망원경 ‘유클리드(Euclid)’가 촬영한 암흑우주의 첫 번째 풀컬러 사진이 공개된다. 6일(현지시간) 미국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ESA는 오는 7일 동부 표준시 오전 8시15분(한국 시각 7일 오후 10시15분)에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을…

      • 2023-11-07
      • 좋아요
      • 코멘트
    • 132억 살 ‘최고령’ 블랙홀 발견…“빅뱅 초기 생성”

      132억 살 ‘최고령’ 블랙홀 발견…“빅뱅 초기 생성”

      나이가 132억 살인 ‘최고령’ 블랙홀이 관측됐다. 6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관측소는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서 우주 관측 이래 가장 오래된 블랙홀을 발견했다며 이같이 밝혔…

      • 2023-11-07
      • 좋아요
      • 코멘트
    • ‘한미 우주산업 심포지엄’ 8일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미국 상무부와 함께 8일 ‘한미 우주산업 심포지엄’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개최한다. 우주산업 관련 양국 정책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협력 방안을 찾기 위한 자리다. 미국 측에서는 백악관 국가우주위원회 시라그 파리크 사무총장을 비롯해 국무부, 국방부, 교통부,…

      • 2023-11-06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오늘 밤 가장 빛나는 목성 뜬다…“별보다 밝은 큰형님 행성”

      오늘 밤 가장 빛나는 목성 뜬다…“별보다 밝은 큰형님 행성”

      오늘은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인 목성이 밤하늘에서 가장 잘 보일 예정이다. 지구에서 보이는 가장 밝은 별보다도 목성이 더 선명하게 관측될 것으로 기대된다. 3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오늘은 목성이 이른바 ‘충의 위치’에 도달하는 날이다. 태양-지구-행성의 순서로 천체들이 위치…

      • 2023-11-03
      • 좋아요
      • 코멘트
    • “우주 보는 눈은 못 빌려”…‘한국형 우주망원경’ 필요한 이유

      “우주 보는 눈은 못 빌려”…‘한국형 우주망원경’ 필요한 이유

      우리나라도 허블, 제임스웹 같은 우주망원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학계 의견이 계속되고 있다. 수년 내 세계 최고 수준의 지상망원경을 한국이 보유하게 되는 만큼 이와 발맞춰 대기층의 방해없이 우주를 지켜볼 파트너가 필요하다는 전망이다. 황호성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2일 진행된 ‘…

      • 2023-11-02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