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권 특혜’ 논란 고려고, 교육청에 감사·징계 재심의 요청

  • 뉴스1
  • 입력 2019년 9월 10일 12시 23분


코멘트
특정 학생들에게 나눠준 유인물에서 시험문제가 출제된 것으로 확인된 고려고등학교의 문형수 교장이 10일 오전 광주시교육청에서 시교육청에 감사결과와 징계요구 재심의를 요청한 뒤 학교입장을 밝히고 있다. 2019.9.10/뉴스1 © News1
특정 학생들에게 나눠준 유인물에서 시험문제가 출제된 것으로 확인된 고려고등학교의 문형수 교장이 10일 오전 광주시교육청에서 시교육청에 감사결과와 징계요구 재심의를 요청한 뒤 학교입장을 밝히고 있다. 2019.9.10/뉴스1 © News1
시험문제 유출과 상위권 학생 특혜 논란을 빚은 고려고등학교가 광주시교육청에 감사결과와 징계요구의 재심의를 요청했다.

고려고는 10일 광주시교육청에 ‘대부분의 교원을 징계하도록 요구한 시교육청 결정이 지나치다’며 재심의를 요구했다.

시교육청은 지난달 13일 고려고 교사 60명 중 50명에 대해 징계 또는 행정처분을 요구했다. 이 중 7명은 해임(교장)·파면(교감)·정직 등 중징계 대상이다.

문형수 고려고 교장은 재심의 신청 뒤 기자회견을 열고 “공정하고 형평에 맞는 징계와 명예회복을 원한다”고 말했다.

문 교장은 “파면·해임 등 중징계를 받을 만큼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다”며 “그간 유사사례로 감사를 받은 다른 학교와의 형평에 맞는 재심의를 요청했다”고 했다.
고려고에 내건 광주시교육청을 규탄 현수막. 2019.8.20/뉴스1DB © News1
고려고에 내건 광주시교육청을 규탄 현수막. 2019.8.20/뉴스1DB © News1

그는 “시험문제 유출은 교사의 단순 실수였을 뿐이다. 감사 결과 어디에도 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비리 또는 성적조작의 근거는 없다”며 “시교육청에서도 ‘성적조작은 없었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했다”고 강조했다.

‘고려고가 우열반 수업을 진행했다’고 본 시교육청 감사결과는 받아들일 수 없음을 밝혔다.

문 교장은 “현재 3학년까지 수준별 이동수업은 합법적이고 교육부 권장사항”이라며 “광주시교육청과 제주시교육청만 실시하지 않고 있을 뿐 전국에서 23.3%의 학교가 수준별 이동수업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고려고는 상위권만을 위한 교육활동을 하지 않았으며 입시학원화 한 사실이 없다”면서 “이는 수시와 정시 입시 결과가 확인시켜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7월5일 고려고에서 3학년 기말고사 수학시험 5문제가 특정 동아리 학생들에게 제공된 문제에서 출제됐다면서 특혜의혹이 제기됐다.

광주시교육청 조사 결과 ‘기하와 벡터’ 교과목 시험 문항 5개 가운데 4개는 수학동아리 학생 31명에게 사전에 나눠준 문제와 일치했고, 나머지 1개 문제는 기호 하나만 바뀌었을 뿐 똑같은 문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교육청은 고려고에 대한 감사를 벌였고, 그 결과 고려고가 명문대 진학실적을 위해 조직적으로 특정 학생들을 관리했다고 판단했다.

고려고를 중점관리 대상학교로 지정해 관리하는 한편 학교법인에 교장과 교감, 교사 등에 대한 징계와 행정처분을 요구했다. 또 퇴직교사 1명에 대해서는 업무방해 혐의로 수사를 의뢰했다.

하지만 고려고는 광주시교육청의 감사 결과가 잘못됐다면서 현수막을 내걸고 기자회견을 여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광주=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