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난치병환자들 황우석교수에 ‘러브콜’

  • 입력 2004년 6월 3일 18시 56분


코멘트
2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과학회의 후 이 회의를 주최한 유전학정책연구소 버나드 시걸 회장과 환담 중인 황우석 교수.-뉴욕=홍권희특파원
2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과학회의 후 이 회의를 주최한 유전학정책연구소 버나드 시걸 회장과 환담 중인 황우석 교수.-뉴욕=홍권희특파원
“우리 희망은 한국이다. 가장 앞서가는 한국에서 치료용 복제연구를 빨리 재개해 달라.”

줄기세포 연구 현황을 유엔에 설명하기 위해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열린 과학회의에 참석한 황우석 서울대 교수에게 난치병 환자와 가족들은 2일 한목소리로 이렇게 요청했다.

세계 정상급 연구진과 난치병에 도전하는 의사들이 두루 참석한 이날 회의는 질병 치료를 위한 인간배아 복제를 지지하는 미국의 민간단체 유전학정책연구소(GPI)가 마련했다. 생명윤리 문제 때문에 연구를 중단시키려는 움직임이 미국 등에서 나타나자 방어에 나선 것이다.

이 자리에서 황 교수는 “복제인간을 만드는 생식복제는 부작용이 많고 성공 가능성도 희박하기 때문에 거론할 필요도 없다”고 전제하면서 “치료용 복제는 난치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삶을 가져다줄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환자 자신의 줄기세포를 활용해 장기를 만드는 치료용 복제는 면역 거부와 같은 부작용이 없다. 이 가능성에 반신반의하던 세계의 과학자들은 황 교수팀이 실험에 성공하자 “치료용 복제의 길을 찾았으니 그쪽으로 가는 것이 최선”이라며 연구를 독려해 왔다. 이날 회의에서도 과학자 대부분이 이런 논지를 폈다.

회의 후 리셉션장에서는 척추를 다쳐 휠체어에 의지하고 있는 대니얼 휴먼 척수장애연구기금 회장이 연설을 통해 “어린 딸의 유모차를 끌어주고 싶다”며 치료복제 연구에 기대감을 표시했다. 휴먼 회장은 황 교수를 만나 “돈은 얼마든지 모아 줄테니 빨리 연구를 재개해 달라”고 호소했다고 황 교수는 전했다.

소아당뇨병을 앓고 있는 6세 소녀의 어머니 데비 아베돈은 황 교수에게 “한국 내 여론 때문에 연구를 중단한 것이라면 딸과 함께 한국을 방문해 연구 재개에 대한 우리의 소망을 설명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목 아래 전신이 마비된 영화 ‘슈퍼맨’의 주인공 크리스토퍼 리브는 연구를 지지하는 동영상 메시지를 회의장으로 보내 왔다. 황 교수는 리브의 간절한 요청에 따라 그와 만나 연구 상황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복제연구는 미래의 산업이란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존 기어하트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는 “치료용 복제를 통해 치유할 수 있는 질병은 셀 수 없이 많다”고 말했다. 미국 특허변호사가 회의장으로 찾아와 황 교수의 특허를 관리해 주겠다고 제안한 것도 시장성을 알기 때문.

황 교수는 “개발 타깃으로 삼은 몇몇 분야 가운데 하나인 ‘1형’ 당뇨병 환자는 세계에 2억명이 있다”며 “이를 완치할 수 있는 의학기술이 개발된다면 경제적 가치는 얼마나 크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외국팀과의 합동연구가 상당히 진척된 분야도 있다”면서 자세한 언급은 피했다.

황 교수는 “타깃 질환 가운데 2, 3개의 치료기술을 먼저 실용화한다면 현재 삼성전자의 몇 배에 달하는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연구는 논문을 쓰려는 것이 아니라 한국을 일류국가로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홍권희특파원 konih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