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전엔…]동아일보로 본 12월 첫째주

  • 입력 2004년 12월 5일 18시 33분


코멘트
1954년 말 서울 시내의 한 이발소 풍경. 당시에는 짧고 단정한 머리가 보편적이어서 성인 남성들은 한 달에 두 번 정도 이발소를 찾았다고 한다. -서울600년사 자료사진
1954년 말 서울 시내의 한 이발소 풍경. 당시에는 짧고 단정한 머리가 보편적이어서 성인 남성들은 한 달에 두 번 정도 이발소를 찾았다고 한다. -서울600년사 자료사진
▲찻값, 목욕 값, 이발 값을 올리기 위한 원가계산 견적서 속에 있는 여러 가지 종목 중에서도 거지들에게 주는 금액 일금 三千환이 포함된 것은 확실히 걸작…▲어떤 친구 왈, 원가견적서를 수지가 맞지 않도록 조작하는 바에야 다방마담들이 분 값, 연지 값까지 포함시켜 놓지 하필 불쌍한 거지를 찻값 인상에 결부시키느냐고…▲하기야 물가사정위원회 위원의 한 사람인 수사과장도 이러한 원가견적서는 찻값을 올리기 위한 원가견적서라고 반대한 바도 있지만…▲그러나 물가사정위원회 대부분의 위원은 수지가 맞지 않는다는 업자들에게만 동정을 하고 올려서 안 된다는 시민들의 희망은 완전히 묵살…▲이럴 바에야 물가사정위원회의 명칭부터 물가인상위원회라고 고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고….

<동아일보 1954년 12월 11일자 휴지통에서>

주먹구구식 공공료인상에 서민불만 봇물

이발료, 목욕료, 찻값 등이 ‘공공요금’으로 취급돼 요금을 올리려면 관의 승인을 받아야 했던 시절이었다. 시도 경찰당국의 1차 심사와 물가사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인상폭을 결정하고, 내무부 장관의 결재가 나야 했다. 정해진 가격보다 높게 받다가 적발되는 업소는 영업정지 등의 불이익을 받아야 했다.

1954년 말, 서울시 물가사정위원회는 서민 생활과 밀접한 이발료와 목욕료를 대폭 인상해 줬다. 85환인 이발료를 130환으로, 40환 하던 목욕료를 60환으로 각각 50%가량 올린 것. 새롭게 유행하던 다방의 커피 값도 덩달아 40환에서 60환으로 인상됐다.

요즘처럼 제품원가 산정방법이 발달한 것도 아니었으니, 업자들은 ‘거지 적선비’와 같은 웃지 못할 구실까지 붙여 최대로 부풀려 요금 인상을 요구하고 관은 적당한 선에서 이를 조정했다. 요금 인상폭이 이처럼 주먹구구식으로 정해지다 보니 물가사정위원회의 결정이 나오면 서민의 비난이 쏟아졌고, 때로는 업자와 관의 유착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모든 것이 궁핍한 당시 상황에서 물가상승은 불가피한 것이기도 했다. 1947년 21원, 1948년 53원, 1950년 102원이던 목욕료는 전쟁 중이던 1952년 1492원으로 치솟았고, 1953년 100원을 1환으로 하는 화폐개혁이 실시된 뒤에도 29환, 40환, 60환(이듬해 말) 등으로 가파르게 올랐다.

성동기 기자 espri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